[응급실 케이스스터디] UGI bleeding
- 최초 등록일
- 2021.08.15
- 최종 저작일
- 2019.05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 응급실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응급실인 만큼 시간순서에 따라 환자 상태/검사/처치를 자세히 기록하였습니다.
간호진단 1 : 상부 위장관 출혈과 관련된 체액 부족 위험성
목차
1. 문헌고찰 - UGI bleeding
2. 사례연구
1) 간호사정
2) 병력기록
3) 신체검진 및 처치현황
4) 검사 및 투여약물
5) 간호진단
3. 교육계획안
본문내용
문헌고찰
1) 정의
식도, 위, 그리고 상부 십이지장의 점막손상으로 혈관이 노출되어 발생하는 출혈을 말한다. 피를 토하는 hematemesis나 새까만 변을 보면 melena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상부 위장관 출혈은 철저한 사정이 요구되는 급성 상태로, 응급치료와 진단을 동시에 시행해야 대상자의 이병율이나 사망률을 줄일 수 있다.
2)원인 및 병태생리
상부위장관출혈의 원인으로는 소화성 궤양이 50% 정도로 가장 많고, 그 밖에 식도정맥류, 스트레스성 궤양, 미란성위염 등의 급성 위점막병변, 위암 등이 있으나,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화성궤양은 점차 줄고 식도정맥류출혈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리고 Mallory-weiss 증후군(구토와 오심으로 인한 속발성 식도열상)과 응고기전에 이상이 있는 혈액질환도 상부 위장관 출혈을 일으킨다. 또한 약물로 인한 점막의 자극(알코올, 아스피린)으로도 출혈이 일어날 수 있는데 소화성 궤양 환자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복용하는 경우 궤양 출혈의 위험성이 두 배 이상 증가한다.
3)증상과 징후
상부 위장관 출혈 시 토혈hematemesis, 흑색변melena, 혈변hematochezia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토혈은 붉은색, 암적색, 갈색 또는 흑색으로 나타다는데 이는 혈액과 위산이 얼마나 오래 접촉했는지에 따라 결정되고 대개 접촉시간이 길수록 혈의 색은 더 어두워진다.
커피찌꺼기 같은 흑색변은 급성출혈이 아닌 경우가 많다. 보통 100~200ml 이상(최소 50ml)의 출혈과 장내에서 8시간 이상 머무를 경우 발생한다. 약 90%가 상부위장관 출혈로 발생하며 출혈이 멈춰도 약 7일간 지속될 수 있다.
붉은색의 혈변의 경우 보통 하부위장관 출혈시 나타나는 증상이나 상부위장관의 대량, 급격한 출혈일 경우 나타나기도 한다.
참고 자료
드러그 인포 (www.druginfo.co.kr)
김금순 외(2017). 성인간호학I, 수문사
서울 아산병원 홈페이지 www.amc.seoul.kr
대구보훈병원 daegu.bohun.or.kr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엮음(2017),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원종순 외(2016),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