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에 대한 이론적 관점에는 ‘구조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이 있다. 이 두 가지를 비교 분석하되
- 최초 등록일
- 2021.07.15
- 최종 저작일
- 2021.07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건강가정론
주제: 가족에 대한 이론적 관점에는 ‘구조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이 있다. 이 두 가지를 비교 분석하되 자신의 가정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자신의 개인적 입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구조기능주의 이론
2. 갈등주의 이론
3. 구조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공통점
4. 본인의 가족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가족이론들은 사회복지사들이 가족을 이해하며 적절한 개입을 할 수 있도록 도운다. 본론에서는 가족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필요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 있는 몇 가지 이론들 중, 구조적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에 중점을 두고 서술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구조기능주의 이론
- 이 이론은 사회생존에 관한 이론으로, 1950년대까지 사회학의 지배적 패러다임이었으나 1970년대 이후부터는 학자들의 냉대를 받게 된다.
- 사회 체계와 유기적인 체계 사이의 비유를 토대로서 하는 이론적인 관점으로 뒤르켐과 파슨스의 이론과 관련 있다. 기능주의는 다양한 성격을 가지는 사회 제도가 사회 전체의 원만한 유지가 가능할 수 있도록 임무를 수행한다고 본다. 예를 들어, 가족과 사회 성원의 재생산을 담당하고, 학교는 사회화와 교육, 기업은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뒤르켐은 ‘사회적 사실’(Fait Social)이 개인으로부터 독립이 된 것으로 보았고, 다른 사회적인 사실과 인과적으로 설명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사회적인 사실을 분석하는 것은 심리학이나 다른 차원으로 환원을 할 수 없고, 사회학자는 사회의 논리 자체를 찾아야만 한다. 사회가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기 때문에 자연과학과 같이 사회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가 가능하다. 사회학자는 사회의 행위자들이 말하는 답변을 무시하며 그들의 의식 안에 있는 감추어진 설명을 찾아야만 한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현대 사회학에서 기능주의(Functionalism)라고 부르는 방법과 유사하다.
- 파슨스의 구조기능주의는 기능주의보다 더 체계적인 이론으로 사회학, 인류학, 비교정치학에서 사용된다. 파슨스의 구조기능주의는 전반적 구조의 작동을 위해 도움을 주는 다양한 기능이라는 관점에서 사회 체계가 가지고 있는 제도의 형식적 차이를 비교한다. 대표적으로 종교와 의식은 사회통합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측면에서 설명된다.
참고 자료
이원숙 외. 건강가정론. 학지사. 2015
원영희 외. 가족복지론. 학지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