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토마스 미들턴(Thomas Middleton)의 복수자의 비극에 나타난 제임스 1세의 실정(失政)

"토마스 미들턴(Thomas Middleton)의 복수자의 비극에 나타난 제임스 1세의 실정(失政)"에 대한 내용입니다.
10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21.06.26 최종저작일 2015.03
10P 미리보기
토마스 미들턴(Thomas Middleton)의 복수자의 비극에 나타난 제임스 1세의 실정(失政)
  • 미리보기

    소개

    "토마스 미들턴(Thomas Middleton)의 복수자의 비극에 나타난 제임스 1세의 실정(失政)"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복수자의 비극』에 나타난 사치스러운 궁정과 법의 무용성
    Ⅱ. 『복수자의 비극』에 나타난 제임스 1세의 잘못된 인재등용정책과 성적 타락
    Ⅲ. Works Cited

    본문내용

    토마스 미들턴(Thomas Middleton)의 『복수자의 비극』 (The Revenger’s Tragedy)과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햄릿』 (Hamlet)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이 희곡작품의 공통점은 영국 제임스 1세 왕(King James Ⅰ)의 집권시기(1603-25) 즉 각각 1607년과 1603년에 출판된 복수비극이고, 성적 도덕적으로 타락한 공작 또는 왕이 주인공의 복수의 대상이 된다는 점이다. 제임스 1세는 동성애를 억압하던 시절에 공공연히 동성애자임을 밝히고 사치를 일삼았다는 점에서 앞에서 언급한 희곡의 왕들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들턴은 제임스 1세의 실정을 간접적으로 비판하기 위해 성적 도덕적으로 타락한 공작(DUKE)과 그에 대한 복수를 계획하는 주인공 빈디체(VINDICE)의 이야기를 소재로 하는 작품 『복수자의 비극』을 썼다고 독자는 추측할 수 있다. 이 극의 사건이 이탈리아(Italy)에서 일어나고, 『복수자의 비극』의 저자가 처음에 밝혀지지 않았던 점은 검열을 피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지금까지 『복수자의 비극』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신겸수는 논문 “철의 시대: 『복수자의 비극』에서 궁정의 타락상”에서 “작가[가] 공작의 궁정의 타락을 장기 집권에 의해 안정된 독재 정권의 해악으로 가정” (신겸수 99)한다고 보고, 궁정의 타락상을 독, 질병, 부패, 건물과 파괴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고찰하며, 이 극의 결말을 “질서가 회복되는 것이 아니” (신겸수 111)라 “한 타락의 시대가 지나간 것” (신겸수 111)으로 규명한다. 한편, 강석주는 그의 글 “『복수자의 비극』 – 조롱과 환멸의 정치학”에서 이 비극을 “기독교와 도덕질서 중심의 보수적 시각과 그와 정면으로 상반되는 지배질서에 대한 전복이라는 대립적 욕망이 공존하는 이중적 텍스트” (강석주 26)로 간주한다. 그러나 두 연구자는 논문에서 제임스 1세의 실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있지 않고, 제임스 1세가 잘못된 정책과 동성애 때문에 의회와 마찰을 일으킨 역사적 사실을 『복수자의 비극』과 연관 짓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사료를 바탕으로 하여 1장에서는 『복수자의 비극』에 나타난 사치스러운 궁정과 법의 무용성에 대하여 연급하고, 2장에서는 『복수자의 비극』에 나타난 그릇된 천거와 성적 타락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자료

    · Anon. The Revenger’s Tragedy. Ed. Brian Gibbons. 3rd ed. A& C Black: London, 2008. Print. New Mermaids.
    · “Historical royal speeches and writings.” The British Monarchy Web Site. The Royal Household at Buckingham Palace, n.d. Web. 19 Dec. 2015.
    · <http://www.royal.gov.uk/HistoryoftheMonarchy/KingsandQueensoftheUnitedKingdom/TheStuarts/JamesI.aspx/>.
    · King of England James Ⅰ. Basilikon Doron: or, His Majesties Instructions To His Dearest Sonne,
    · Henry the Prince. Early English Books Online - ProQuest, 2011. Reproach of Men. Paul W. Davis. Web. 21 Dec. 2015. <http://www.reproachofmen.org/>.
    · Lord Hope of Craighead. “King James Lecture ‘The best of any Law in the world’ –was King James right? Middle Temple – 20 October 2008.” United Kingdom Parliament. United Kingdom Parliament, 20 Oct. 2008. Web. 19. Dec. 2015.
    · <http://www.publications.parliament.uk/pa/ld200708/ldjudgmt/kingjameslecture.pdf/>.
    · Norton, Rictor. “Queen James and His Courtiers.” Gay History and Literature. 9 Jan. 2012. Web. 19 Dec. 2015. <http://rictornorton.co.uk/jamesi.htm/>.
    · Trueman, Chris. “James I.” The History Learning Site. N.p., 17 Dec. 2015. Web. 19 Dec. 2015. <http://www.historylearningsite.co.uk/stuart-england/james-i/>.
    · ---. “James I and Royal Revenue.” The History Learning Site. N.p., 17 Dec. 2015. Web. 19 Dec. 2015. <http://www.historylearningsite.co.uk/stuart-england/james-i/>.
    · 강석주. “『복수자의 비극』 – 조롱과 환멸의 정치학.” 영어영문학21 24.3 (2011): 5-30. Print.
    · 김성남. “[전쟁사] 영국내전 제임스 1세, 잉글랜드의 왕이 되다.” 네이버캐스트. 17 Aug. 2012. Web. 19. Dec. 2015.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57&contents_id=11789/>.
    · 신겸수. “철의 시대: 『복수자의 비극』에서 궁정의 타락상.” 고전·르네상스영문학 12.1 (2003): 97-114. Print.
    · 이경아. “제임스 1세(James I)의 재정문제.” 논문집 9.1 (1995): 425-42. Print.
    · 차석찬. “제임스 1세.” 차석찬의 역사창고. N.p., n.d. Web. 19 Dec. 2015. <http://mtcha.com.ne.kr/world-man/england/man56-jeims%201se.htm/>.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