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러미 리프킨(2020), 글로벌 그린 뉴딜, 안진환, 민음사, pp.11-90
· 김지훈(2020), 기후위기에 글로벌 기업들도“온실가스 감축해야”촉구, 국민일보,(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5013935&code=61131611&cp
· =nv)
· 송철호(2020), 한국맥도날드, 국가브랜드대상 수상…친환경 경영 등 인정, 주간한국, (http://weekly.hankooki.com/lpage/economy/202009/wk20200918104459146450.htm?s_r
· ef=nv)
· 네이버 지식백과 > 온실가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47061&cid=62861&categoryId=62861)
· 한국에너지공단(2019), 2019년 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보고서(대상년도 2018년),
· pp.105-217
· 한세라(2019), 녹색물류, ‘필(必)환경’ 시대를 맞이하다, 코리아쉬핑가제트, (https://www.ksg.co.kr/bizlogistics/news/news_view.jsp?pNum=121078)
· 전민하(2020), “사람은 못가도 택배는 간다”… 코로나가 일으킨 택배 열풍, 조선비즈,
·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9/22/2020092202025.html?utm_source
· =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 통계청(2020), 긴 장마와 잦은 태풍, 지구의 이상기후? 기후변화 대응과 경제성장까지, 그린뉴딜로!, 통계청블로그, (https://blog.naver.com/hi_nso/222071632162)
· 에너지경제연구원(2018),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 정점 도달 시점 분석, pp.109-137
· 네이버 지식백과 > 4차 산업혁명,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77297&cid=43667&categoryId=43667)
· 최경호(2019),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 및 관련 법제 연구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강원법학 제58권, pp.785-786
· 박구인(2020), 현대글로비스, 태국 CP그룹과 친환경 물류사업 협업,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56648&code=11151400&cp=nv)
· 박보근(2011), DHL의 한국시장 물류전략 : 친환경 물류 "탄소중화서비스" 인증서 제공, 해양한국 2011권5호, pp.40-42
· 황대중(2019), Tier 1과 Tier 3 방법론에 따른 선박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관한 고찰,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43(4), pp.296-297
· 이승환(2020), 선박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및 저감을 위한 국가 관리 대책 연구:
· 해양경찰 업무를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6, No. 2, pp.167-171
· 이홍표(2020), 바다 위의 테슬라 온다...닻 올린 ‘친환경 스마트 선박’, 한경비즈니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50&aid=00
· 00054916)
· 코리아쉬핑가제트 외신팀(2020), EU, 2022년부터 해운에 온실가스배출량거래제 적용, 코리아쉬핑가제트, (https://www.ksg.co.kr/news/main_newsView.jsp?pNum=127627)
· 고준영(2020), 해운사 흔드는 IMO 2020을 아십니까?, 네이버 포스트,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195144&memberNo=12494
· 964&vType=VERTICAL)
· 해양수산부(2020), 강화된 황산화물 배출규제로 선박 미세먼지 OUT! 부산항, 인천항, 등 5대 주요 항만, 배출규제해역 본격 시행, 해양수산부 블로그, (https://blog.naver.com/koreamof/222064743740)
· 감사행복(2020),여객기에서 화물기로 개조 :: 사활 몸부림,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10004hyeongtong/222085334607)
· 황호형,남태우(2012), 친환경 대체 에너지 추진 항공기의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항공산업연구 76, pp.111
· ICAO(2019), ICAO Environment Report 2019, pp.18-20
· 박영민(2020), 일론 머스크 "전기비행기 배터리 3~4년내 양산“, ZDNETKorea,
· (https://zdnet.co.kr/view/?no=20200826094940)
· 박종원(2017), ‘전기’ 비행기 시대 온다,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1711291752033772)
· 한혜란(2020), 탄소배출 '0'을 꿈꾼다…에어버스 "2035년 수소비행기 상용화",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00922001700081?input=1195m)
· 한종규(2019), 항공운송분야에 있어서 블록체인의 적용과 법적 쟁점,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34권2호, pp.140-157
· 네이버 지식백과 > 배출권거래제,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90636&cid=50303&categoryId=50303)
· 김봉수(2020), 항공업계, 코로나 타격에 온실가스 규제까지...275억 추가비용 발생우려, 글로벌경제신문, (http://cnews.getnews.co.kr/view.php?ud=2020091815273476066a6b374224_16)
· 정환보(2016), ‘온실가스 공장’ 항공기, 배출가스 규제 합의…2020년에 묶는다,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10071709001&code=9701
· 00)
· 이주형,김원호,김용석,최성원(2016), 항공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규제 대응방안,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24 no.1, pp.48
· 한진석,이승민,정예민,박민철,김수현(2019), 육상화물운송수단의 미세먼지 및 온실가스
· 저감 방안 연구, 기본연구보고서 2019권0호, pp.1-2,101,195
· 박영민(2020), 한전-GS칼텍스, 전기차 생태계 확장 속도낸다, ZDNETKorea,
· (https://zdnet.co.kr/view/?no=20200925091934)
· 이윤미,문대섭,유재균(2008), 친환경수단으로서의 철도화물운송 증대를 위한 Modal Shift 정책 비교 연구,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2436
· 김영주(2016), 철도화물수송 지원정책 국제비교 연구,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제19권제5호, pp.685
· 김도형(2020), 이스라엘 상업용 드론 시장동향, 코트라 해외시장뉴스,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99/globalBbsDataView.do?setIdx=254
· &dataIdx=183257)
· 박진형(2020), 42air, 美해상 드론 배송 서비스 시장 진출, 전자신문,(https://www.etnews.com/20200928000119)
· 황혜진(2020), “드론산업, 규제로 걸음마 상태”, 문화일보,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0092401071803324001)
· 김석주(2020), 드론 산업, 진입규제 풀어 생존에 힘 실어야, 제주매일, (http://www.jejumaeil.net/news/articleView.html?idxno=212027)
· 유재호(2020), 친환경 물류 어디까지 왔나?, 환경부 블로그, (https://blog.naver.com/mesns/222024741182)
· 권신구(2020), ′퍼스널 모빌리티′가 가져올 세상, 시사워크, (http://www.sisaweek.com/news/curationView.html?idxno=137719)
· 최화영(2020), "자전거, 길이 엉망이어서 못 타요!", 프레시안,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090711380752545?utm_source=naver&ut
· m_medium=search#0DKU)
· 주영재(2020), 자전거로 어디든 막힘없이 가고 싶다,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9191454001&code=9401
· 00)
· 한종규(2019), 항공운송분야에 있어서 블록체인의 적용과 법적 쟁점,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34권2호, pp.141-149
· 김미희(2020), 무섭게 쏟아지는 '포장 쓰레기'…추석 연휴 '빨간 불', MBC뉴스, (https://imnews.imbc.com/replay/2020/nwdesk/article/5921753_32524.html)
· 기성훈(2020), "2030년까지 폐기물 20%↓"…택배포장 줄이고 재활용제품 사용 늘린다,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92309381748483)
· 홍유담(2020), 늘어난 택배에 폐기물 걱정…배송에 '친환경' 더한다,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00929132600030?input=1195m)
· 김예나(2019), "기후위기, 시간이 없다"…청소년들, 학교 결석한 채 도심시위,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927092400004?input=1195m)
· 강연주(2019), 500명 학생 시위 이끈 17살 소녀 "대한민국은 0점",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74085)
· 조천호(2019), 파란하늘 빨간지구, 동아시아, pp.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