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붕, 한군희(2020), “4차 산업혁명시대의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연구,” 융합정보논문지, 10(3),7-15.
· 김광석, 권보람(2017), “4차 산업혁명과 초연결사회, 변화할 미래산업,” Issue Monitor(삼정 KPMG), 68호(1월), 1-16.
· 김도성, 조성한, 이정수, 김민석, 김남현(2018), “특허분석을 통한 한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경쟁력분석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9), 229-237.
· 김봉진(2010), “광주광역시 글로벌 헬스케어산업 육성 방안,” 정책연구 2010-09, 광주발전연구원.
· 김수범(2015), “디지털-헬스케어 융합산업 동향,” 보건산업브리프 162, 1-8.
· 김영수, 정재진(2019), “e-헬스케어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비즈니스 생태계 접근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4(1), 167-185.
· 김치원(2020), 디지털 헬스케어는 어떻게 비즈니스가 되는가, 서울: 클라우드라인.
· 메디컬타임즈(2017.10.31.), “왓슨 도입 병원들 한목소리 ‘수가반영 요구하겠다’, https://goo.gl/rCENoN(2017.11.1.)
· 문유정, 강지민(2020), “데이터 3법 개정과 의료 빅데이터 활용방안,” GBSA Review, 2020-10.
· 미래창조과학부(2016.8.10.), 「대한민국 미래 책임질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선정」,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
· 민현정(2019), “인구감소시대, 광주전남의 저출산 고령화 정책현황과 과제,” 광주전남연구원.
· 박도희, 강민영(2020), “데이터 3법 통과: 의료 데이터, 개방을 넘어 활용으로,” Issue Monitor(삼정KPMG), 124호 (3월), 3-28
· 박혜경(2019), “인공지능(AI) 헬스케어산업 현황 및 동향,” 융합 Focus, 148(6), 10(3), 1-9.
· 보건복지부(2016), 「바이오정보 기반 정밀의료 기술개발」.
· 산업연구원(2015), “모바일헬스케어 산업의 도전과 과제”, 월간 KIET산업경제, 제202호
· 산업통상자원부(2017.4.17.), 「4차 산업혁명 주도를 위한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전략」.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2018),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기기 기술·표준 전략 보고서」.
· 우성희(2016), “디지털 헬스케어와 주요 이슈,”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5월 25일,560-563.
· 유선길(2018), 디지털 헬스케어 주요 기술 개발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난경·이종옥·황경태(2014), “헬스케어 정보기술 분야의 연구 프레임워크 및 연구동향”, 「정보화정책」, 21(3): 3-32.
· 이다은·김석관(2018),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동향과 정책 시사점”, 동향과 이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이명화 외(2016), 「바이오경제시대 과학기술정책의제 연구사업(6차년도): 바이오헬스 혁신시스템 진단 및 정부의 역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이승관(2017),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동향과 과제”, 주간기술동향, 1826호
· 이희주(2017),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의료 환경 변화와 웰니스의 전망,” 한국 웰니스학회지, 12(4),215-223.
· 정보통신산업진흥원(2017),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 도입사례 분석집」
· 정진철(2020), “광주광역시의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기업과 혁신연구 Vol.43 No.3
· 조희숙(2017.3.24.), 토론 요지, 「환자중심·근거기반 보건의료의 미래 전략」, 2017 NECA Annual Conference.
· 최영남 외(2015), “사용자유형을 조절변수로 한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수용의도의 구조모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 최진영·이승철·강찬구(2012), ‘헬스케어 3.0 건강수명 시대의 도래’, 삼성경제연구소
·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8), 「바이오 헬스 산업 동향 및 기술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