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도경,「독일의 의료보험 개혁 동향」, 2013, 65-66p
· 강기원, 「독일의 질병관리 프로그램」, 2008, 5-6p
· 김영재,「독일의 보건의료 제도」, 2002, 7-8p
· 신영석,「건강보험 재정확충 다양화 및 사회적 합의 도출 연구- 출장보고서」, 2018, 18-19p
· 태윤희 외 2, 「주요국의 건강보험제도」, 2017
· 안형태, 「건강보험 진료비 지불보상과 치료재료 등재절차」 : 프랑스, 일본, 독일 제도와의 현황비교를 중심으로, 2015, 6-8p, 9-17p, 41-47p
· 정성희 외, ⌜주요국 공·사 건강보험 연계 체계 분석⌟, 2018
· 신현웅 외1,「HIRA 정책동향 제12권 6호」, 2018
· 윤석준 외, 「OECD 국가의 보건의료 행정조직이 조직현황과 의사의 참여방식에 관한 연구」, 2013, 156-176p
· 고경화, 「주요국의 의료서비스 산업 정책연구」, 2012, 149-150p
· 윤보영, 「국내 일차의료 및 공공보건의료 현황과 발전방향」, 2019,42-46p
· 강정모, 「신포괄수가제 하의 행위량 변화 연구」 2016, 1-8p
· 신영석 외, 「건강보험 정책현황과 과제」, 2010, 72-94p
· 「상대가치 근거자료 검색방법」, 201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2012 치료재료 모니터링 보고서」, 201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정형선, ⌜2018년 경상의료비 및 국민보건계정⌟, 2019, 보건행정학 2019;29(2):p206-219
· 고정은, ⌜지역사회간호학1⌟, 2018, 현문사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8
· 이재호, ⌜일차의료 가치와 근거, 현실과 대안⌟, 2014,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7 의료서비스산업 동향분석⌟, 2017
· 보건복지부, ⌜OECD Health Statistics 2019⌟ ,2019, p104-114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분류체계관리실 상대가치개발부, ⌜상대가치제도 개선 관련 독일국외출장⌟, 2013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요국의 의료서비스산업 정책 연구⌟, 2012
· 이유진, ⌜“독일선 돈 없어 치료 못받는 일 없어요”⌟, 2014,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
· 최인덕, OECD 주요국의 의료보장제도 제정구조 분석, 2006, 국민건강보험공단
· 윤강재 외, 한국의료전달체계의 쟁점과 발전방향, 2014, p61-63
· 윤보영, 국내 일차의료 및 공공보건의료 현황과 발전방향 : 미국, 호주, 독일 그리고 쿠바 사례와의 비교, 2018, p3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