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재난 간호술
- 최초 등록일
- 2021.03.02
- 최종 저작일
- 2019.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 서론
Ⅱ . 본론
1. 임상실습 중 응급·재난 간호술에 대한 경험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2. 대상자의 상황에 따른 응급·재난 간호술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3. 대상자의 상황에 따른 응급·재난 간호술의 중요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 시오.
Ⅲ . 결론
1. 자아성찰
Ⅳ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 서론
1.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은 심정지로 인한 주요 장기의 비가역적 손상을 막기 위하여 인공순환과 인공호흡을 시행하여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을 유지하고,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심박동 을 회복시켜서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한 치료기술이다.
심폐소생술이 도입되기 이전에는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 심정지가 발생한다는 것은 곧 죽음을 의미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초에 현대적인 방법의 심폐소생술이 도입되어 환자가 발생한 장소에서부터 심폐소생술이 시행됨으로써,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를 소생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 후로부터 심폐소생술은 의료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반드시 익혀 두어야 할 중요한 응급처치술이 되었고, 심폐소생술이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 중에서 상당수가 생존할 수 있게 되었다.
2. 재난
재난이란 사회가 가진 자원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초과하는 인적, 물적, 경제적, 환경적손실로 사회기능이 붕괴된 상태를 일컬으며, 예기치 않게 사회 자원의 수요가 공급을 심각하게 초과하게 되는 상황을 일컫는다(김수진, 2014). 또한 재난은 자연적 혹은 인위적인 원인으로 파괴와 손실로 인해 대량 환자의 발생으로 수요가 제공 가능한 의료자원을 능가하는 상태를 총칭한다(임경수, 황성오, 안무업, 안희철, 2009).
한편 응급의료체계에서 본 재난의 정의는, 단시간 내에 많은 수의 환자들이 내원하여 급증한 의료 자원의 수요의 증가와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으로, 응급의료체계 자체적 역량으로는 환자의 치료가 불가능한 상태로 외부의 도움 없이는 최소한의 간호도 불가능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임경수 등, 2009, 김수진, 2014).
참고 자료
Statistics Korea. (2000). 2017년 심정지 환자. Retrieved March 5, 2019, from http://www.cdc.go.kr/CDC/main.jsp
박혜영(2015). 응급실 간호사의 재난간호 핵심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간 호학석사 학위논문. 4-5.
Statistics Korea. (2019). 병원서 실신한 승객, 병원직원이 생명 구해. Retrieved March 5, 2019, from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33817&
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Statistics Korea. (2018). 폭염 14명 사망, 143만마리 폐사-재난 수준의 ‘한반도 폭염’. Retrieved March 5, 2019, from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54725.html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재난간호 사례와 재난간호사의 역할 9페이지
- 급성신부전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28페이지
- 간호학과 실습,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응급실, ARF, Acute renal failure, .. 27페이지
- 재난간호, 국내 재난 사례, 재난 시 간호사 역할, 외상환자 간호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