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재난이란?
Ⅱ. 본론
1. 국내 재난 사례
2. 재난 시 간호사의 역할
Ⅲ. 결론
1. 문제점 및 발전방향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재난이란?
1) 재난의 정의 및 개념
재난의 정의란,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 또는 지역사회 전체에 사망, 손상, 질병 및 재산 피해의 결과를 가져오며 이는 일상적인 절 차나 자원을 이용해도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할 정도여서 반드시 외부지원을 필요로 하 는 것을 의미한다.
재난(disaster)이라는 단어에서 'dis'는 ‘분리’, ‘떨어짐’, 'asteo'는 별을 뜻하며, 재난, 재해, 참사, 재앙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재난은 국가와 시대별 및 사회적 배경에 따라 다르 게 정의되고 있는데 ⌜자연재난대책법⌟에서는 자연재난은 자연현상 때문에 발생하는 피해 로 정의하고,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 재난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크게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구분한다.
2) 재난의 유형
(1) 자연재난
- 태풍, 홍수, 호우, 강풍, 풍랑, 해일, 대설, 가뭄, 지진, 황사, 적조 그 밖에 이해 준하는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
• 자연재난을 통해 경험을 축적
• 대응: 초기 경고 시스템
• 매우 강력한 충격과 피해
• 생존자 구조 및 지원
• 손실 보상 중심(기존)
(2) 인적재난
- 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 화생방사고, 환경오염사고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사고로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 이상의 피해
• 예고없이 발생
• 잠재적 발생 요인 많음
• 불확실성과 불안
• 책임자 소재와 분쟁가능성
• 사회에 대한 불신 문제
(3) 사회적 재난
- 에너지, 통신, 교통, 금융, 의료, 수도 등 국가기반체계의 마비와 전염병 확산 등으로 인한 피해
• 상품화와 행정서비스 강화로인한 고도집중화 및 생활양식의 변화가 초래하는 위험부담 증가
참고 자료
지역사회보건학 편찬위원회 편. 지역사회보건간호학(2019). 수문사.
김상운. (2008). 허베이 스프리트호 원유유출사고와 방제시스템 개선 방안. 대한환경공학 회지, 30(2), 115-120.
김동식 기자, “서해안 기름유출 사고 10년, 생태계‘완전회복’, 2017-12-07,http://cc.newdaily.co.kr/site/data/html/2017/12/07/2017120700030.html , 2017-12-10
국민재난안전포털
KOSIS 국가통계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