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보장하는 폐렴 아동 간호과정 (+간호진단2개)
- 최초 등록일
- 2021.02.17
- 최종 저작일
- 2019.11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아동 간호과정>
+문헌고찰
+간호진단2개
Dx. pneumonia
C.C dyspnea
Hx 모세기관지염
입원경위: 상기 pt. 5/9~5/14 발열, 감기증상 있어 pneumonia로 타원 입원하여 cefotaxime + azithromycin tx 시행함. 증상호전 보여 퇴원하였으나 5/23부터 다시 기침, 가래 악화 보여 5.24타원 재입원
cefotaxime + azithromycin tx 시작하였으나 tacypnea, chest retraction 지속되고 dysaturation 발생하여 O₂ mask 5L/min한 상태로 5.26 전원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간호사정
Ⅳ. 간호과정
본문내용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mycoplasma pneumonia에 의해 발생하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소아청소년의 흔한 폐렴 중 하나이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특별한 치료 없이 스스로 호전되나, 소아의 경우 폐쇄성기관지염, 괴사성폐렴 등의 심한 합병증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뿐 만 아니라 2001년 이후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를 적용했으나 발열 및 기침증상이 지속되고 CXR소견이 악화되는 치료 불응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증가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내성을 가진 마이코플라스마 2015년 기준 87.2%에 달했다.) 따라서 cefotaxime과 azithromycin 치료를 진행하였으나 퇴원 후 급성호흡곤란이 나타난 1살 여아를 대상을 사례로 간호를 연구하였다.
* 문헌고찰
[폐렴] pneumonia
정의: 폐실질에 급성 염증이 발생된 것
병태생리
➀ 간질강과 폐포, 세기관지에서 염증 발생
➁ 발병과정
-병원체가 기도점막 침입, 폐포에 번식
-해당 부위에 수분과 삼출물 고이고 다른 감염 증상이 나타남
-WBC가 폐포 내로 이동, + RBC와 섬유소
-액체가 폐포를 채움 → 식균작용 어려움
-액체를 통해 세균이 다른 폐포로 이동 → 감염 확산
-병원체가 혈관으로 침입 → 패혈증
감염이 늑막강으로 확장 → 농흉
원인
➀ 정상 방어기전의 손상
➁ 유발 위험요인
-의식 상태 저하: 기침반사/후두개 반사 억제 → 흡입성 감염 발생
-기관 내 삽관: 기침반사 억제, 점액섬모 방어기전 손상
-공기 오염, 흡연, 상기도감염, 노화: 점액섬모 방어기전 손상
-영양장애: 림프구와 백혈구의 기능변화, 구강인두 상주균의 증식
-면역력 저하: 만성질환, HIV감염, 면역억제제, 방사선 치료
➂ 폐렴균 침입 (경로)
- 흡인: 비인두/구인두의 정상 상주균 흡인
- 흡입: 공기 중 폐렴균이 호흡기도를 통해 흡입
- 혈액: 신체의 다른 감염원에서 혈액을 통해 확산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