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캠퍼스북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복지국가론] 전통적 복지국가의 한계와 극복 대안

*준*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02.03
최종 저작일
2020.12
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전통적 복지국가의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서술한 글입니다.

목차

1. 전통적 복지국가의 한계
2. 젠더적 관점에서의 극복 방안

본문내용

19세기 말, 국가가 주도한 시혜적 차원의 형태로 그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복지국가는 20세기 초,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대공황을 거치면서 그 필요성이 증대되어 선진 자본주의 국가의 기본틀로서 자리를 잡았고, 그 이후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완전고용에 힘입어 30년 간의 황금기를 보냈다. 이후 복지국가의 토대를 흔드는 두 차례의 오일 쇼크와 같은 경제적 충격과 저출산·고령화와 같은 인구학적 변화를 겪으면서 ‘복지 축소’라는 격동의 시기를 보냈지만 오랜 시간 동안 구축되어 온 복지국가의 근본적인 토대는 흔들리지 않았다(Pierson, 1994). 하지만 복지국가의 근본적 토대가 변화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복지 축소를 반대하는 자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일지 모르지만 복지국가의 근본적 토대에 문제를 제기하는 자들에게는 그리 희소식은 아니다.

참고 자료

김교성. 2016. “이 시대 ‘복지국가’의 쓸모?!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 비판사회정책52:179-222
김교성. 2017. “젠더평등한 복지국가를 위하여”(신간 서평). 한국사회복지학 69(2):299-305
김교성·이나영. 2018. “젠더협곡을 넘어 젠더정의로: 가부장적 복지체제의 균열과 변혁적 대안”. 한국사회복지학 70(2):7-33
김교성·백승호·서정희·이승윤. 2018. “기본소득이 온다. 분배에 대한 새로운 상상”. 사회평론아카데미
윤홍식. 2019a.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과 궤적 1”. 사회평론아카데미
Bonoli, G. 2006. “New Social Risks and the Politics of Post-industrial Social Policies” in Armingeon, K. & Bonoli, G. (eds). The Politics of Post-industrial Welfare States: Adapting Post-war Social Policies to New Social Risks 1-29.
Esping-Andersen, G. 1990.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olity Press. 박시종 역.2007. “복지 자본주의의 세가지 세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Esping-Andersen, G. 2002.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Oxford Univ. Press. 유태균외 역. 2006. “21세기 새로운 복지국가”. 나남
Esping-Andersen, G. 2009. “Incomplete Revolution : Apating to Women’s New Roles”. 주은선·김영미 역. 2014. “끝나지 않은 혁명”. 나눔의 집
Fraser, N. and Honneth, A.. 2014. “Redistribution or Recognition?: A Political Philosophical Exchange”. London: Verso. 김원식·문성훈 역. 2014. “분배냐 인정이냐?: 정치철학적 논쟁”. 서울: 사월의 책
Orloff, A. S. 1993. “Gender and the Social Rights of Citizenship: The Comparative Analysis of Gender Relations and Welfare Stat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8(3):303-328
O’Connor, J. S. 1993. “Gender, Class and Citizenship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Welfare State Regime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44(3):501-518
Taylor-Gooby, P. 2004. “New Social Risks and Welfare States: New Paradigm and New Politics” in Taylor-Goodby, P. (ed). New Risks, New Welfare: The Transformation of the European Welfare State 209-237
Pierson, P. 1994. “Dismantling the Welfare State?”. Cambridge Univ Press. 박시종 역. 2006. “복지국가는 해체되는가?”.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준*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복지국가론] 전통적 복지국가의 한계와 극복 대안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