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학개론(기업의 해외 진출과 수출입절차)
- 최초 등록일
- 2021.02.03
- 최종 저작일
- 2020.1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업의 해외 진출 의미
2. 기업의 해외 진출방법
3. 수출입절차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기업의 해외 진출이란 기업이 국제적인 경영활동을 전개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국가에 있는 기업들이 상호 무역 활동을 통해 해당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 물적 자원을 더욱 전문화·체계화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기업경영과 국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학문적 의미로서 기업의 해외 진출은 Robock & Simmonds(1989)의 ‘국경선을 넘어 이루어지는 재화, 서비스, 자본, 인력, 기술이전 및 인력 관리 등이 포함되는 경영활동’이라는 의미와, Robinson(1978)의 ‘한 나라, 영토, 또는 식민지 이상의 사람 혹은 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경영활동’이라는 의미가 있다.(김세훈, 2018)
일반적으로 기업은 국내 경기의 불확실성을 회피하거나 세계시장을 무대로 국제시장의 재화와 용역을 활용하고자 해외시장으로 진출하게 되는데, 시장 확대를 통한 추가적 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주도적 전략 동기와 경쟁기업으로부터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한 방어적 전략 동기로 구분할 수 있다.(이준호, 2005)
즉, 기업의 해외 진출이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내부의 인적· 물적 자원을 타국으로 이전시켜 타국에서 기업의 국제적인 경영활동을 영위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기업의 해외 진출방법을 조사하고, 수출입절차에 대하여 설명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기업의 해외 진출 의미
기업의 해외 진출에 있어 해외투자란 생산요소의 국제적인 이동을 의미하는데, 단순한 자본만의 국경을 초월한 이동이 아니라, 생산기술 또는 경영 기법 등이 국경을 넘어 다른 나라로 이전하는 것도 수반된다.
전략적 동기
- 국제무대에서 이윤을 확보
- 해외시장/ 고객에게 독점적 정보의 우위 행사
- 국제 경영활동에 대한 열정 및 인센티브 활용
- 규모의 경제 달성
방어적 동기
- 경쟁사의 시장점유율 잠식 차단
- 과잉재고의 처분 및 잉여 생산력 해소
- 국내 판매의 감소/ 국내시장 포화 상황 회피
참고 자료
김세훈(2018). 국내 제조 중소기업의 베트남 진출 방안.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이준호(2005).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국제화 추진전략 및 정책 시사 점. 중소기업연구원.
한국무역협회(2019). 무역실무매뉴얼
KOTRA(2018). 해외투자진출 종합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