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축명작의이해 A+과제 (시게루 반 영상 감상문, 21년 작성)
- 최초 등록일
- 2021.01.23
- 최종 저작일
- 2021.0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21년 1월 시게루반에 대한 감상문을 적어 A+을 받았습니다.
계명대학교 현대건축명작의 이해 감상문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반 시게루의 강연 내용을 통한 생각의 전환
1) 왜 그는 프리츠커 상을 수상할 수 밖에 없었는가?
3. 반 시게루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1) 종이교회
2) 페이퍼 테니어 뮤지엄
4. 맺으며
본문내용
“반 시게루는 지난 20년간 전 세계의 재해 현장을 돌며 적은 비용으로도 단순하고 위엄 있는 피난처와 공공건물을 지어 고통받는 피해자를 도왔다. 그의 인도주의적 헌신은 모두에게 모범이 되었고, 우리가 사는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었다.” 반 시게루는 지난 2014년, 이와 같은 상찬과 함께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 상”을 수상하게 된다.
강의를 수강하며 많은 건축가들의 평가를 접하게 되었으나, 여태 본 건축가들의 평가와는 조금 다른 듯 했다. 나라를 빛내는 랜드마크, 화려한 건물들을 설계한 것이 아닌 피난처와 공공건물 등을 설계함으로 프리츠커 상을 수상했다는 것이 색다르면서도 궁금해졌다. 공부한 바에 의하면 ‘개인의 노력 + 사회, 문화의 공동발전’이라는 프리츠커 건축상 선정 방법에도 부합하고, 건축의 시대 흐름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을때도 당시(2010년도 즈음) 사회적 기요도가 많은 social 건축가들을 많이 선발하는 경향이 보인다는 점에서 적절하겠으나, 다른 프리츠커상 수상자들에 비해 다소 대단하지 않은 건물로 상을 탄 것이 아닌가, 라는 의문을 품게 된 것이다.
참고 자료
헤럴드디자인포럼2015_반시게루 (2015.12.17.)
https://www.youtube.com/watch?v=U1YmIfJFKMI&feature=youtu.be
반시게루. (2019) [행동하는 종이건축]. 민음사.
크리스티나 하베를리크 [콜라시거 50 20세기 건축]. 해냄.
최성운, 장국진, (2008). 생태학(生態學)적 관점의 디자인에 대한 고찰, 디자인학연구
고경훈, 최두남. (2015). 시게루 반 건축의 구조와 외피 변용에 따른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 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두산백과, 페이퍼테이너뮤지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53368&cid=40942&categoryId=34683
국민일보 (‘세상을 살리는 디자이너’ 건축가 반 시게루 “종이로 지은 집 20년 지나도 끄떡 없어”)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05&aid=0000839453
huffpost 이 건축가는 어떻게 종이로 세상을 구했을까? by 전종현
https://www.huffingtonpost.kr/entry/story_kr_5cfdba19e4b0e5674fc0eac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