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
· 강릉대학교박물관, 『양양 지리 주거지』, 2001.
· 강원문화재연구소, 『고성 송현리 유적』, 2007.
· ______________, 『고성 초도리 유적』 , 2007.
· ______________, 『강릉 송림리 유적』, 2007.
· ______________, 『강릉 입암동 유적』, 2007.
· ______________, 『춘천 거두리 유적』, 2003.
· 한림대학교박물관, 『칠전동 점토대토기 유적 발굴보고서』, 2007.
· 국립중앙박물관, 『법천리Ⅰ』, 2000.
· ____________, 『법천리 Ⅲ』, 2009.
· 국립춘천박물관, 『양구 현안 만대리 선사유적』, 2013.
· 단행본 및 논문
· 강원도사편찬위원회, 『강원도사』2권, 강원도사편찬위원회, 2010.
· 이형원, 『청동기시대 취락구조와 사회조직』, 서경문화사, 2009.
·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07.
· 노혁진, 2001, 「粘土帶土器文化의 社會性格에 대한 一考察- 住居遺蹟의 特色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45, 한국고고학회.
· _____, 2013, 「백두대간의 관점에서 본 강원도 선사시대 취락의 형성과정」,『고고학』12, 중부고고학회.
· 박진일, 2000, 『圓形粘土帶土器文化硏究 -湖西 및 湖南地方을 中心으로-』, 부산대석사학위논문
· _____, 2006, 「서울·경기지역 점토대토기문화 시론」,『고고학』5-1, 중부고고학회.
· _____, 2013, 「한반도 점토대토기문화 연구」, 부산대학교박사학위논문.
· 이화종, 2004,『中部地方 粘土帶土器文化 硏究』, 한양대학교석사학위논문.
· _____, 2006, 「江原地域 圓形粘土帶土器文化의 特徵과 編年」,『강원고고학보』7·8, 강원고고학회.
· 이숙임, 2003,『江原地域 粘土帶土器文化 硏究』, 한림대학교석사학위논문.
· _____, 2007, 「강원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 고찰」, 『고문화』69. 대학박물관협회.
· 한상인, 1981, 「점토대토기문화성격의 일고찰」,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 박순발, 1993a,『한강유역사』, 民音社
· _____, 1993b,「우리나라 初期鐵器文化의 展開過程에 對한 약간의 考察」,『考古美術史論』3, 충북대학교고고미술사학과
· 이건무, 1994,「韓國式銅劍文化의 性格 -成立背景에 대하여-」,『東아시아의 靑銅器文化』, 文化財硏究所
· 신경숙, 2002,『湖南地域 粘土帶土器 硏究』, 목포대학교석사학위논문
· 이형원, 2003, 「粘土帶土器文化의 定着 過程」,『한반도의 토기문화의 흐름』,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제49회 추계 학술발표회.
· 서길덕, 2006,『원형점토띠토기의 변천과정 연구』, 세종대학교석사학위논문
· 이성재, 2007,『중국동북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과정 연구』, 숭실대학교석사학위논문.
· 임설희, 2009,『韓國 粘土帶土器의 變遷過程 硏究』, 전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 최정아, 2011, 「서울 및 경기도지역 삼각형점토대토기에 대하여」, 서울대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