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아미노산의 생리적 기능
- 최초 등록일
- 2020.12.26
- 최종 저작일
- 2019.05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아미노산의 생리적 기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아미노산의 정의와 구조
2. 아미노산의 분류
3. 아미노산의 종류와 기능
4. 아미노산의 성질
5. 실크 아미노산
6. 질병과 아미노산
7. 아미노산 이상
III. 결론
본문내용
서론
현대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이제 우리는 더 건강하고 오래 사는 삶을 꿈꿀 수 있게 되었다. 우리 몸의 중요 구성 물질로서의 아미노산은 결과적으로 우리 몸 전체의 기능과 연관되어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항체와 호르몬 생성으로 질병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일상에서 아미노산만 잘 섭취해도 많은 질병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고 우리의 건강과 장수에 놀라운 영향을 미친다.
좋은 아미노산의 섭취는 질병의 예방과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아미노산의 생리적 기능을 이해하고 섭취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현재는 단백질과 아미노산을 활용한 암 치료 연구뿐만 아니라 아미노산 섭취로 일상적인 건강을 유지하려는 이들이 점차 늘고 있다.
본론
1. 아미노산의 정의와 구조
1) 정의
아미노산은 염기성인 아미노기(-NH_2)와 산성인 카르복시기(-COOH)를 모두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다. 대부분이 무색의 결정이며 물에 잘 녹는다. 아미노산은 대표적인 양성 전해질로서 단백질을 구성하는 중요 성분이다. 단백질을 산이나 효소로 가수 분해 시키면 여러 종류의 아미노산이 된다. 우리가 음식물로 섭취하게 되는 단백질이나 우리 몸 안에 있는 단백질은 모두 아미노산이 사슬처럼 연결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2) 구조
아미노산들이 일정한 순서에 결합하여 단백질을 형성하는데, 아미노산이 결합할 때에는 물 분자가 빠져나가 축합하여 –CO-NH- 결합이 생긴다. 이 결합을 펩티드 결합이라고 하며 이 결합으로 최소한 100여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alpha-위치의 탄소원자에 아미노기가 붙어 있는 것을 alpha-아미노산이라고 하며 아미노기가 beta-위치에 붙어 있는 것을 beta-아미노산 이라고 부른다. 동물체에 함유된 아미노산은 대부분이 alpha-아미노산이다. 또한 아미노기가 부제탄소의 왼쪽에 연결되어 있으면 L-아미노산이라고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