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택, 『한국정치론』, 박영사, 2018.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52 - 대한민국의 성립』, 국사편찬위원회, 2002.
· 민석홍, 『서양사개론』, 제2판, 삼영사, 1997.
· 일본사학회, 『아틀라스 일본사』, 사계절, 2011.
· 한국사연구회,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下』, 제3판, 지식산업사, 2008.
· 호광석, 『한국의 정당정치』, 들녘, 2005.
· 김육훈, 『살아있는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휴머니스트, 2007.
· 『제주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2003.
· 姜英哲, 「左右合作과 南北協商」, 『국사관논총 20』, 국사편찬위원회, 2001.
· 기광서, 2005,「[특집 - 역사용어 바로 쓰기] '소군정'은 실재했는가」,『역사비평』/-(73), 77-82, 역사비평사.
· 김인식, 「좌우합작운동에 참여한 우익 주체의 합작 이론」, 『국사관논총 96』, 국사편찬위원회, 2001.
· 김정배, 1997., 「냉전의 기원: 공존과 지배의 전략」, 『미국사연구』/5(-), 135-161., 한국미국사학회.
· 박수현, 2011., 「한국 민주화와 친일청산 문제」 ,『기억과 전망』/0(24), 130-166.,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 박태균, 2005, 「[특집 - 역사용어 바로 쓰기] 반탁은 있었지만 찬탁은 없었다.」, 『역사비평』/-(73), 66-70, 역사비평사.
· 백운선, 1993., 「역비논단 제헌국회 소장파의 활동과 역사적 재평가」, 『역사비평』/-(22), 233-250, 역사비평사.
· 서동희, 『친일반민족행위자 청산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5.
· 심지연, 「1945~1948년 남한 정치세력의 노선과 활동 연구」, 『한국사론 27 - 韓國史硏究의 回顧와 展望 Ⅴ』, 국사편찬위원회, 1997.
· 오제연, 2016., 「연구의 확장, 새로운 모색, 대화의 부재: 2014~2015년 한국 현대사 연구 동향」, 『역사학보』/231(-), 77-113., 역사학회.
· 우경화, 『신탁통치문제와 미소공동위원회』, 2008., 석사학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李剛秀, 2003., 「반민특위 特別裁判部의 조직과 활동」, 『한국 근현대사 연구』/25(-), 531-563, 한국근현대사학회.
· 이영주, 『해방정국의 중도파의 좌우합작운동』, 석사학위,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7.
· 전현수, 1995., 「소련군의 북한 진주와 대북한정책」 ,『한국독립운동사연구』/9(-), 343-377.,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정병준(鄭秉峻), 『1946~1947년 左右合作運動의 전개과정과 성격변화』, 韓國史論/29(-), 1993., 249-30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 정용욱, 「미·소의 대한정책과 군정연구」, 『한국사론 27 - 韓國史硏究의 回顧와 展望 Ⅴ』, 국사편찬위원회, 1997.
· 정해구, 「남북한 분단정부 수립 및 남북협상에 관한 연구」, 『한국사론 27 - 韓國史硏究의 回顧와 展望 Ⅴ』, 국사편찬위원회, 1997.
· 최원석, 『해방이후 친일파에 대한 인식 변화가 친일파 청산에 미친 영향』, 석사학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동아일보》
· 『한국 근현대사사전』
· "[서중석의 현대사 이야기] <4> 친일파, 첫 번째 마당 - 뉴라이트·이승만, '용서받지 못할 자' 비호", 프레시안,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no=108327
· "[제796호] 반탁운동, ‘동아’ 오보가 없었다면", 「한겨래」, 2010년 01월 28일 수정, http://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26642.html
· "4.3 민중항쟁의 전개과정", http://mahan.wonkwang.ac.kr/source/jea-ju/5.htm
· "4·3진상규명의 긴 여정", 제주4.3아카이브, http://www.43archives.or.kr/html/sub020501.do.
· "남한 점령 태평양 주둔 미군사령관 포고 제1호,"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m/view.do?treeId=010801&tabId=01&levelId=hm_144_0020
· "마셜 플랜", 『한경 경제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66596&cid=42107&categoryId=42107
· "선거보도와 한국정치/ 김재홍", 「한겨래」, 2001년 12월 05일 수정,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1057000/2001/12/001057000200112052205099.html
· "잘못 낀 첫 단추," 사료로 배우는 민주화운동, http://contents.kdemo.or.kr/sub01/sub01_02.html
· "제1대 정당별 국회의원선거 당선인 통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r/electioninfo/electionInfo_report.xhtml
· "조선 공산당의 정치 노선-8월 테제",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m/view.do?treeId=010801&tabId=01&levelId=hm_144_0050
· "조선건국동맹(朝鮮建國同盟)",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3803
· "프랭클린 D. 루즈벨트 : 대서양 현장 (1941)," 주한미국대사관 및 영사관, https://kr.usembassy.gov/ko/education-culture-ko/infopedia-usa-ko/living-documents-american-history-democracy-ko/atlantic-charter-1941-ko/
· “[제주4‧3 70주년] 진상규명 과제 산적한데 학술 성과는 빈약”,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87564.
· “나의 첫 투표 ① 1948년 제헌국회 선거”, 스토리오브서울, http://www.storyofseoul.com/news/articleView.html?idxno=3049
· “박흥식”, 두피디아,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3064
· 『서울신문』“민전, 좌우합작 5개 원칙 발표”, 1946년 07월 27일, 국사편찬위원회,『자료대한민국사 제2권, http://db.history.go.kr/id/dh_002_1946_07_27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