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는 쇼토쿠 태자(聖德太子) 시기에 이미 수(隋)에 견수사(遣隋使)를 보내어, 유학생과 유학승을 파견하여 중국의 선진 문물제도를 받아들이는 데 힘썼다. 이러한 전통을 바탕으로 일본에서는 630년, 이누카미노 미타스키(犬上御田鍬)를 시초로 하여, 894년에 스기와라노 미치자네(菅原道眞)가 임명되기까지 총 19회에 걸쳐 당의 선진 문물과 제도를 수입하기 위하여, 그리고 일본이 에미시(蝦夷)나 신라보다 상위의 국가임을 당나라에 주장하기 위하여 견당사를 파견하였다.
이들 사절단은 한번 당(唐)에 들어가면, 다음번 견당사가 올 때까지인 약 20년이라는 오랜 기간을 당에서 지내야 하였고, 이들이 당의 선진 문물을 보고 배워온 기술이나 이들이 가져온 서적, 경전, 미술품 등은 이후 일본 문화가 발전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한편, 일본의 국내는 상당한 혼란기를 거듭하고 있었다. 나라 시대에는 이미 강력한 귀족으로 성장한 후지와라 씨가 천황의 외척으로서 천황가에 버금가는 광대한 귀족의 지위를 차지하며, 외척이었던 후지와라 씨가 천황이 어리면 섭정(攝政), 천황이 장성하면 관백(関白)이 되어 11세기 말까지 권력을 독점하는 섭관정치(摂関政治)를 하고 있었다. 이들은 관리의 임면권을 장악하고 정무의 요직을 독점하여 막대한 수입을 얻었을 뿐 아니라, 전국의 지방 영주로부터 광대한 장원을 기진을 받아 최고의 권문으로서 영화를 누리고 있었다. 이들이 사실상 정부의 역할을 함에 따라 정치가 후지와라 가문의 사적인 것으로 변질되고 있었다. 일본 국내가 상당히 혼란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대륙에서 선진문물을 들여오고 있었다.
그러나 9세기경, 당이 안사의 난을 기점으로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하였고, 더욱이 얼마 지나지 않아 한반도에서는 신라가 쇠퇴하여 고려가 세워지고 만주에서 발해가 요나라에 의해 멸망하자, 대륙 문화에 대한 일본의 관심은 크게 줄어들었다. 또한 대륙과 한반도에서 무역선이 오기 시작하자 이들은 위험을 감수하면서 대외로 나갈 필요가 없이 외국 물자를 손에 넣을 수 있었다.
· 권경민, 『만화학개론』, 선학사, 2013.
· 김남희, 『일본회화 특강』, 계명대학교출판부, 2016.
· 김희영, 『이야기 일본사』, 청아출판사, 1999.
· 신채식, 『동양사개론』, 제4판, 삼영사, 2018.
· 이에나가 사부로, 이영 옮김, 『일본문화사』, 까치, 1999.
· 일본사학회, 『아틀라스 일본사』, 사계절, 2011.
· 전국역사교사모임, 『처음 읽는 일본사』, 휴머니스트, 2013.
· 정혜선, 『일본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2011.
· 타케미츠 마코토, 고선윤 역, 『3일만에 읽는 일본사』, 서울문화사, 2000.
· 김수미, 2017, 「국보『겐지모노가타리 에마키(源氏物語絵巻)』 독자적인 場面에 관한 一考察」, 『日語日文學硏究』/102(2), 241-261, 한국일어일문학회.
· 유인숙, 2010, 「설화문학의 에마키화에 있어서 회화적 영역의 기능 -『信貴山縁起絵巻』를 중심으로-」, 『일본언어문화』/16(-), 463-479, 한국일어일문학회.
· 이봉녀, 2011, 「일본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원류인 ‘백귀야행 에마키(百鬼夜行繪卷)’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5(3), 119-13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 이봉녀, 곽봉철, 2012, 「일본 미술에 표현된 만화적 요소에 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6(4), 24-3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 최인향, 『道成寺藝術硏究』, 박사학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세계미술용어사전』.
· 『역사용어사전』.
· 겐지모노가타리 화첩(源氏物語畫帖) | 큐레이터 추천 소장품 : 국립중앙박물관 . (n.d.).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view?relicRecommendId=140601.
· 겐지모노가타리병풍(源氏物語屛風) | 소장품 검색 : 국립중앙박물관 . (n.d.).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2851.
· "File:Ban Dainagon Ekotoba - Crowd and a gate.jpg", 위키미디어 공용(Wikimedia Commons),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an_Dainagon_Ekotoba_-_Crowd_and_a_gate.jpg.
· "File:Ban dainagon ekotobaL.jpg", 위키미디어 공용(Wikimedia Commons),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an_dainagon_ekotobaL.jpg.
· "File:Bishamonten messager.jpg", 위키미디어 공용(Wikimedia Commons),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ishamonten_messager.jpg.
· "File:Chouju monks.jpg", 위키미디어 공용(Wikimedia Commons),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houju_monks.jpg.
· "File:Chouju swimming.jpg", 위키미디어 공용(Wikimedia Commons),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houju_swimming.jpg.
· GENJI-MONOGATARI-EMAKI published by TOKUGAWA MUSEUM, NAGOYA, Japan, 1937. "File:Genji emaki Kashiwagi.JPG", 위키미디어 공용(Wikimedia Commons),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Genji_emaki_Kashiwagi.JPG.
· GENJI-MONOGATARI-EMAKI published by TOKUGAWA MUSEUM, NAGOYA, Japan, 1937. "File:Genji emaki TAKEKAWA2.jpg," 위키미디어 공용(Wikimedia Commons),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Genji_emaki_TAKEKAWA2.jpg.
· Murayama, Shungo (村山旬吾) (1917) Wakan meiga sen (和漢名画選) (National Diet Library), Kokkasha (国華社) (bilingual), pp.55-6, "File:Tobikura no maki (flying storchouse).jpg", 위키미디어 공용(Wikimedia Commons),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Tobikura_no_maki_(flying_storchouse).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