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염색 및 관찰 (그람염색법)
- 최초 등록일
- 2020.10.14
- 최종 저작일
- 2020.06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미생물 염색 및 관찰에 관한 리포트입니다. 본 리포트에선 E.coli, B.cereus, S.aureus의 그람염색을 시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해보고, 주변 미생물 채취를 통해 그람염색의 과정을 다시 한 번 익힙니다.
목차
1. E.coli 그람염색
2. 현미경 관찰
3. B.cereus 그람염색
4. S.aureus 그람염색
5. E.coli+B.cereus 그람염색
6. E.coli+S.aureus 그람염색
7. 주변 미생물 채취 후 그람염색
본문내용
· 배양했던 3가지 미생물을 그람염색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 그람염색은 1884년 덴마크의 미생물학자인 Hans Christian Gram에 의하여 처음으로 고안된 특수 염색법으로 세균이 지닌 세포벽의 구조적 차이를 이용하여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구별하는 염색법이다.
· 그람염색 결과 보라색으로 염색되는 세균은 그람양성균, 분홍색으로 염색되는 균은 그람음성균으로 판별한다.
- E.coli 그람염색
· Escherichia coli(대장균)부터 그람염색을 진행한다.
· 세균들이 너무 오랜 시간 배양되게 되면 세포벽에 변화가 생길 수 있으므로 그람염색에 사용되는 세균들은 되도록 배양 후 24시간 이내에 균을 사용한다.
· 슬라이드 글라스에 관찰할 균의 이름을 적고 슬라이드 글라스에 증류수를 스포이드로 한 방울 떨어뜨려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