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미생물실험 최종보고서(수계미생물 분석 및 액체배지를 활용한 VSS와 흡광도의 관계 고찰)-A+자료
- 최초 등록일
- 2020.11.29
- 최종 저작일
- 2014.06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환경공학과 환경미생물실험 최종보고서 자료입니다. 수계미생물 분석 및 액체배지를 활용한 VSS와 흡광도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습니다. A+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개 요
1. 설계 목적
2. 설계 요약
제 2 장 설계 결과
1. 시료 미생물 관찰
1.1. 발견된 미생물
1.2. 필리를 가지고 있는 미생물
1.3. 그 외의 다양한 미생물
1.4. 결과 분석 및 고찰
2. 최확수법을 이용한 대장균 수 측정
2.1. 48시간 이후 유당배지 관찰
2.2. 실험 결과
2.3. 결과 분석 및 고찰
3. 자율 실험
: 유당고체배지에서의 평판 계수 및 그람염색 관찰
3.1. 도말평판법을 이용한 평판 계수
3.2. 평판 계수 결과 분석
3.3. 획선평판법을 이용한 균주 분리
3.4. 그람염색 관찰 결과
3.5. 결과 분석 및 고찰
4. 자율 실험
: 액체배지의 VSS 측정 및 흡광도 비교
4.1. VSS측정 실험 사진 및 측정 결과
4.2. 흡광도 측정 결과
4.3. VSS와 흡광도 데이터 분석
4.4. 선형화 그래프 및 역함수 그래프
4.5. 결과 분석
본문내용
제 1 장 개 요
1. 설계 목적
: 수계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들을 관찰하고 수계의 수질을 분석한 후, 그 미생물을 동정하여 어떤 종류의 미생물인지 밝혀내기 위함을 목적으로 실험을 설계하였다.
본 조는 나아가 수계의 미생물들을 배양한 액체배지의 VSS와 흡광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자율실험을 설계하였다.
2. 설계 요약
: 실험은 크게 시료 관찰 및 분석 파트와 자율 실험 파트로 설계하였다. 선정한 시료를 바탕으로 한 관찰 및 분석은 시료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파악, 그 성질을 알기 위함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이는 자율 실험 1의 유당배지 실험으로 이어져 최종적으로 그람염색 관찰을 통하여 시료 분석이 끝나게 된다.
추가적으로 액체배지를 대상으로 측정한 VSS와 흡광도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자율 실험 2를 설계하였다.
제 2 장 설계 결과
1. 시료 미생물 관찰
- 시료 선정 : 대구대학교 기숙사 연못 물
- 관찰 목표 : 시료 안에 있는 미생물 관찰
- 관찰 방법 : 시료를 염색하지 않고 그대로 떠서 관찰.
1.1 발견된 미생물
1.1.1. Closterium sp.
: 주로 봄부터 여름철에 출현하는 부유성 조류로 세포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진다. 세포의 가운데에는 둥근 피레노이드가 일렬로 배열한다.
1.1.2. Centrophyxis
: 종의 형태는 구형이며, 세포 표면에 규소로 구성된 물질을 붙이기 때문에 색깔이 진한 갈색으로 보인다. 입은 중앙부위 표면 쪽으로 발달해있다. 사진으로는 확인이 안되지만 돌기를 가지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2개를 가진다.
1.1.3 Oscillatoria sp
: 주로 봄과 가을에 녹조현상을 유발하는 종으로 간독소를 생산하기도 한다. 납작한 영양세포가 일렬로 배열하여 trichome을 형성하고 수표면에 부유하거나 바닥에 mat를 형성하기도 한다. Gliding으로 스스로 움직일 수도 있다.
참고 자료
박철희 외 3명 공저 ⌜미생물학실험⌟ 동화기술.
서울대학교 미생물 연구소 저 ⌜미생물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