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유대감 결여가 도시 범죄에 미치는 영향 파악 및 대응 방안' 입니다.코로나 19가 도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앞으로의 도시 계획은 어떤 방향으로 이뤄져야하는지 제시한 레포트 입니다. (도시 계획실습)
그 중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사회적 유대감 결여와 도시범죄에 대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본 과목(도시계획실습) 성적은 A+입니다.
목차
1.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변화 –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2.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으로 인한 우리 생활과 도시의 변화
3.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 장기적인 진행 – 사회적 유대감 결여
4. 현재 사회 상황 – 도시 범죄
5. 사회적 유대감과 범죄의 관계
6. 사회적 유대감과 우리 몸의 관계
7. 사회적 범죄 해결방안
8. 이탈리아 발코니 – 유대감 형성
9. 발코니 합창 – 집단의 참여
10. 발코니 – 자연적 감시 공간
11. 발코니의 정의
12. 우리나라 현재 발코니 형식
13. 우리나라 발코니 확장 배경
14. 우리나라 발코니 확장 이유
15. 발코니 확장 문제점
16. 발코니의 또 다른 장점 - 여가생활과 삶의 쾌적성 증진
17. 발코니 설치 실행방안
18. 서울의 발코니 추진 방향
19. 발코니 설치 사례
20. 발코니 설치 – 소규모 주택정비 사업을 통해
21. 소규모 주택정비 사업
22. 우리나라의 건물 노후화 비율
23.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진행 현황
24. 해외 유사사업 추진 사례
25. 결론
26. 보고서를 마치며
본문내용
1.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변화 –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이 실시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는 코로나 19의 지역사회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사람들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는 감염 통제 조치 혹은 캠페인을 이르는 말이다.
이 캠페인은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씻기, 옷소매로 입과 코 가리고 기침하기, 외출 시 마스크 착용하기 등 기본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가장 기본으로 권고된다.
이 외에도 행사나 모임 참여 자제 등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부득이하게 사람을 만나는 경우에는 2m 이상 거리두기 등이 권고된다.
이 캠페인으로 인해 기업들은 출퇴근 유연근무제, 재택근무를 시행하고 있으며 종교계, 실내 체육, 유흥시설은 운영중단이 강력권고 된 상황이다.
2.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으로 인한 우리 생활과 도시의 변화
본 보고서는 코로나 19사태로 인해 권고되고 있는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이 우리 사회에, 우리 도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또, 이것으로 일어나는 문제를 분석해보고 해결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
살면서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봤을 구절이다.
이 말은 인간이 개인으로서 존재하고 있어도 그 개인이 유일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타인과의 관계하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개인은 사회 없이 존재 할 수 없다는 것이다.
글로벌 시대, 협력 사회인 21세기에서 사회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였고, 기업이 가장 추구하는 인재도 능력이 특출난 개인주의적 성향의 사람보다는 팀으로 함께 협력하여 최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는 사회성 있는 사람이다.
참고 자료
30대 중국인 여성, 케냐 슈퍼마켓서 기침했다 돌에 맞아 사망..코로나 19 관련 혐오범죄 증가, <topstarnews>강도,상점털이,탈옥..코로나가 몰고 온 더 큰 재앙들, <ohmynews>
코로나19에 총 사재기하는 미국인..월별 신원조회 역대 최다,<연합뉴스>
코로나19 덮친 스페인, 양로원 요양원에서 노인들 버려진 채 발견, <경향신문>
자가격리 이탈 비상...목포,수원,부산,제주 잇따라, <중앙일보>
사회적 유대감 강화가 요구되는 때이다, <전국도민일보>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정책연구>. 2010
박종훈(2018), “서울 시민의 범죄 두려움에 관한 연구 : 서울 서베이 자료를 활용하여* ”, 서울도시연구 제 19권 제4호 2018.12, pp.111~129
신재헌(2012), “자연적 감시의 확보가 주민간의 유대감을 통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공공분양 아파트 발코니 확장비용 최대 4.4배차, 한국경제
1960년대 “이국적 공간”화려한 등장, 지금은 “불필요한 공간” 쓸쓸한 퇴장, 한국일보
[한국만의 건축] 넓은 집에 대한 욕망 반영 보온 중시하는 문화도 한몫, 조선일보
발코니 없으면 태풍,화재 등 재난 때 충격흡수 못해 , 한국일보
춤출 발코니가 없다, 중앙일보
보금자리 주택에 ‘유럽풍 발코니’ 입힌다, 영남일보
2018년 국토해양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