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아동간호학실습 급성편도염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20.08.26
- 최종 저작일
- 2017.04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아동간호학 실습 A+받은 자료입니다!
꼼꼼하게 작성하였고 교수님께 칭찬도 받았습니다 ㅎㅎ
간호진단은 2개 내렸습니다~
#1. 인후통과 관련된 체액부족
#2.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목차
Ⅰ. 문헌고찰
1. 병태생리
2. 발생빈도와 원인
3. 임상증상
4. 진단 및 검사
5. 치료
6. 간호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검사소견
3. 투여약물
4. 간호진단
본문내용
급성 편도염 (Acute Tonsillitis)
급성 편도염이란 편도를 구성하는 혀편도, 인두편도, 구개편도 중 주로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급성 염증, 대부분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하고 주변 인후 조직의 임파선을 침범하는 인후염이 생길 수 있다.
1. 병태생리
편도는 림프조직으로 구개인두에 위치하며 세균체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편도염은 자주 걸리는 감염으로 구개편도의 염증과 관련이 있다. 아동은 인두강 내의 림프조직이 비대해 있기 때문에 편도염에 자주 걸리고 상기도 감염이 흔하다.
2. 발생빈도와 원인
박테리아에서 A군 beta-hemolytic streptococci(GABHS)는 편도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박테리아인 GABHS로 유발되는 급성 편도염은 전체 질환의 20%를 차지한다. streptococcal 감염으로 인한 편도염을 치료하지 않으면 성홍열, 중이염 그리고 주위 조직의 화농성 감염을 초래한다. 더욱 심각한 합병증으로는 급성 사구체신염, 수막염 그리고 류마티스열을 일으킨다.
3. 임상증상
편도염의 증상으로는 인후통, 연하곤란, 발열이다. 상기도 감염과 동반된 비강 충혈로 인해 구강호흡을 하게 되고, 구강점막이 건조해진다. 건조한 구강점막은 편도염과 관련된 통증을 악화시킨다. GABHS감염으로 인한 편도염을 앓고 있는 아동은 두통, 복통, 오심, 구토, 설사 증상을 경험한다. 일반적으로 삼출액을 동반한 편도의 염증은 시진으로도 관찰된다. 경부의 선증(adenopathy)도 나타날 수 있다.
4. 진단 및 검사
(1) 진단
일차적으로 아동의 증상과 시진을 통한 인후의 상태로 판단, 급성기에는 인후 검사상 충혈되고 비대해진 편도가 관찰되고 부분적으로 흰색 삼출액으로 덮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삼출액은 대개 편도와 국한되어 있으며 특히 편도음와의 입구부에 생긴다.
참고 자료
아동청소년간호학 Ⅱ (2014년) ,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KMLE 의학 검색 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