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는 거의 모든 콘텐츠가 OSMU(One Source Multi Use) 방식으로 개발되고 유통되는 추세이므로 디지털콘텐츠라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디지털콘텐츠에 관한 개념정의는 콘텐츠산업진흥법으로 통합되기 이전의 법률인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 제2조 제1호에서 밝히고 있었는데, “디지털콘텐츠”란 부호, 문자, 음성, 음향, 이미지 또는 영상 등으로 표현된 자료 또는 정보로서 그 보존 및 이용에 있어서 효용을 높일 수 있도록 전자적 형태로 제작 또는 처리된 것이라고 규정하였다. 또한 같은 법 제2조 제2호는 “온라인디지털콘텐츠”란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의한 정보통신망(이하 “정보통신망”이라 한다)에서 사용되는 디지털콘텐츠라고 규정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디지털콘텐츠는 개인이나 단체가 의사전달, 업무행위, 디지털콘텐츠제공행위, 거래행위, 서비스행위, 공동체행위 등을 편리하게 할 목적으로 디지털기기로 창작 또는 제작하거나 이러한 기기와 정보전송망으로 통신, 전송, 수신, 재생, 저장, 처리할 수 있는 문서, 책, 그림, 사진, 웹사이트, 입체모형, 음악, 영화, 공연영상, 애니메이션, 게임, 디지털방송, 데이터베이스, 전통문화, 스포츠, 전문서비스, 컴퓨터프로그램 등과 같은 콘텐츠를 말한다고 규정할 수 있다. 여기에는 기존의 저작물처럼 사용 허락되어 전송망으로 전송 또는 방송되거나 배포되는 사용 허락형 디지털콘텐츠뿐만 아니라 물품처럼 매매되거나 임대되는 매매형 디지털콘텐츠, 재화 및 서비스의 요건을 갖춘 디지털콘텐츠도 포함된다.
디지털콘텐츠는 무형의 형태를 지니기 때문에 유체물과 달리 그 존재형식 및 전달과정에 있어서 아날로그 형태의 콘텐츠와 다른 여러 가지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디지털콘텐츠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0’과 ‘1’의 집합으로 표현되는 내적 동질성 및 품질의 동질성이다. 디지털콘텐츠는 ‘0’과 ‘1’이라는 이진법적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싱에 친화적이며 다른 형태의 콘텐츠와 상호호환이 가능하다.
· 김두원, 디지털콘텐츠 관련 범죄에 관한 연구 :게임 콘텐츠 관련 범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p.13-16, 2020.05.29.
· 리빙쉬, 디지털콘텐츠 유형별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5, p.9-10, 2020.05.31.
· 두산백과, 온라인게임, 2020.05.31.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온라인게임,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7, 2020.05.31.
· 케이벤치 기자, 5월 4주차 온라인게임 순위, 공짜로 풀린 ‘GTA5’ 때아닌 인기‧‧‧오버워치‧던파 순위↑, 케이벤치, 2020.05.29., https://kbench.com/?q=node/210962, 2020.05.31.
· 최주리, 소셜 버즈와 온라인게임 밸런스 조정의 상관관계 분석:<리그오브레전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p.4, 2020.06.01.
· 리즈피아, “리그 오브 레전드 인기 이유”,
·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2821467&memberNo=16036253&vType=VERTICAL, 2020.06.02.
· 생각보다 도움되는 블로그, “리그 오브 레전드 인기 이유”,
· https://blog.naver.com/wnsdn6007/221380276864, 2020.06.02.
· 강태훈, 모바일 게임 싫증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2015. p.9, 2020.06.03.
· 양씨아오, 한국 모바일게임의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성공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5, p.34-35, 2020.06.04.
· Gevohution, “모바일게임순위”, http://www.gevolution.co.kr/rank/overall, 2020.06.03.
· 넥슨,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https://www.nexon.com/Home/Game, 2020.06.04.
· 소성렬, 넥슨, 남녀노소 사로잡은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국민게임으로 다시 발돋움, 전자신문, 2020.06.03., https://www.etnews.com/20200603000207, 2020.06.04.
· 황요순, TV광고에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대한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광고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6, p.15-16, 2020.06.08.
· 최지은,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음률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수학적 태도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17, p.8-9, 2020.06.08.
· 왕려연, 클레이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제작에 관한 연구 :-아드만 스튜디오 작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14, p.8, 2020.06.07.
· EBS, “꼬마 펭귄 핑구”, https://home.ebs.co.kr/pingu/main, 2020.06.08.
· EBS, “꼬마 펭귄 핑구”, https://home.ebs.co.kr/pingu/etc/2/htmlMenu, 2020.06.08.
· 김진우, 94년생이라면 공감할 수 있는 꼬꼬마 시절 추억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씨네21, 2019.11.12.,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4211&utm_source=naver&utm_medium=news, 2020.06.08.
· 멍디, 3D 애니메이션 제작 기법 연구 :Rain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p.5, 2020.06.08.
· 박정수, 3D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또래집단기의 아동미술표현에 미치는 영향 :토이스토리3과 드래곤 길들이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p.8, 2020.06.08.
· 네이버 영화, “인크레더블2”,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36990, 2020.06.08.
· 김형욱, ‘인크레더블’은 단순 슈퍼히어로 영화가 아니다, 오마이뉴스, 2018.07.13.,
·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453647&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2020.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