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구비문학 연구 - “속담”의 유형과 특징을 중심으로 -
- 최초 등록일
- 2020.06.16
- 최종 저작일
- 2020.02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900원

판매자appa**** (본인인증회원)
목차
Ⅰ. 서 론
Ⅱ. 속담의 특징
1. 공동창작물
2. 구비 전승
3. 속담과 격언의 차이
Ⅲ. 속담의 유형
Ⅳ. 속담의 요소
1. 상황을 간결하게 표현
2. 교육과 풍자
3. 비유적, 우회적으로 의도를 표현
4. 다른 속담, 같은 뜻
Ⅴ.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속담(俗談)은 한 문장 정도의 짧고 간결한 형식을 지니고 있으며 그 속에는 일상에서 얻은 교훈과 지혜가 담겨 있다. 구전되는 말이지만 언중들의 재치가 담겨 있어 문학적인 아름다움도 가지고 있으므로 구비문학의 한 갈래에 속한다. 그러나 동시에 관용어의 하위 갈래에도 속하기 때문에 단순한 비유어나 성어 등과 혼동하는 경우도 많다. 관용어의 다른 하위 갈래들과 속담의 관계는 경계점이 모호하기 때문에, 명확히 밝혀 말하기가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속담(俗談)은 예로부터 한 민족 혹은 사회의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며 굳어진 어구로 이언(俚諺)·속언(俗諺)이라고도 한다. 속[俗]이란 민중의 일상생활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상생활 공간에서 얻어진 삶의 지혜나 예지가 응축된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담[談]이란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비교적 짤막한 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유적인 표현을 담고 있는 것을 말한다.
참고 자료
『구비문학개설』, 장덕순 외, 일조각, 2006.
『구비문학의 세계』, 조동일, 새문사,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