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덤 연구 : 왜 우리는 그에게 열광하는가
- 최초 등록일
- 2020.06.07
- 최종 저작일
- 2017.12
- 31페이지/
압축파일
- 가격 1,500원

소개글
팬덤 연구의 일환으로 작성한 레포트와 발표 자료입니다.
실제 팬덤에 참여하거나, 참여했던 인원들과 인터뷰를 하고 인터뷰와 여러 문헌을 참고하고 종합하여 현대 사회에서 팬덤의 의미와 역할을 고찰해보았습니다
매우 정성들여 작성했고 성적도 만점 나온 과제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팬덤의 변화
2) 취향은폐
3. 연구 방법 및 목적
4. 연구 결과
1) 팬덤을 통한 사회 공동체 형성 및 정체성 확립
2) 유사 종교로서의 팬덤
5. 결론
본문내용
인터넷이나 SNS를 둘러보면 ‘성덕’, ‘덕질’, ‘어덕행덕’, ‘덕밍아웃’ 같은 단어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팬덤 활동과 관련된 신조어는 보편적으로 사용될 만큼 널리 퍼져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2017년 5월에 열렸던 제 19대 대통령 선거는 그 어느 대선보다도 지지자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현 문재인 대통령의 ‘달빛기사단’, ‘젠틀재인’ 이나 이재명 시장의 ‘손가혁’ 같은 지지자 모임이 대표적이었고, 그 외 다른 지지자들의 활동도 매우 주목받았다. 이처럼 현대 사회에서 팬덤 문화는 분야를 가리지 않고 사회 곳곳으로 퍼져 상당히 보편화 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팬덤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매우 좋지 않다. 과거부터 팬덤이란 단어에는 항상 ‘빠순이’, ‘사회 부적응자’, ‘사생팬’과 같은 부정적 단어들이 따라왔다. 사생팬이란, 연예인들의 사생활, 일거수일투족까지 알아내려고 쫓아다니며 감시하는 무리를 일컫는다. 그 외에도 연예인을 대상으로 한 테러, 스토킹 같은 행동들로 팬덤 활동을 하는 사람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과거에 비해 현재의 팬덤은 매우 많이 달라졌다. 팬덤은 맹목적으로 스타를 추종하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회사에 팬들의 의견을 개진하며 스타의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팬덤이 직접 컨텐츠를 생산하여 새로운 문화를 만들기도 한다. 또한 팬들이 만든 굿즈로 인한 시장이 형성되기도 한다. 그 외에도 각종 기부나 봉사활동과 같은 사회적 활동을 하며 과거와는 달리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그간 주로 부각되던 팬덤의 부정적 측면이 아닌 긍정적인 요소를 알아보려고 한다. 또한, 팬덤이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고, 어떤 의미로써 작용하는지 내부자들의 자세한 이야기를 통해 살펴보고 싶었다. 더불어 팬덤의 사회적인 기능도 알아보려고 한다. 개인적으로도 팬덤 활동을 하는 입장에서 팬덤의 긍정적인 부분을 드러내고 싶었다.
참고 자료
김용석. (2011). 팬클럽에서 청소년의 사회참여 활동에 관한 연구. 시민청소년학연구, 2(1), 101-142.
이수현. (2015). 한국 아이돌 팬덤과 문화소비.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응철. (2016). 우리는 항상 무엇인가의 팬이다: 팬덤의 확산, 덕질의 일상화, 취향의 은폐, 한국문화인류학회, 49(3), 95-135.
정민우, & 이나영. (2009). 스타를 관리하는 팬덤, 팬덤을 관리하는 산업 : ‘2세대’ 아이돌 팬덤의 문화실천의 특징 및 함의. 미디어, 젠더 & 문화, 12(-), 191-240.
압축파일 내 파일목록
팬덤 연구 - 우리는 왜 그에게 열광하는가.pptx
문화인류학 팬덤 문화 레포트.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