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지도안] 조선 후기 사회 개혁론 등장
- 최초 등록일
- 2020.06.01
- 최종 저작일
- 2020.06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우행시 (본인인증회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수업지도안] 조선 후기 사회 개혁론 등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학이 발달하다
2. 서학이 전래되고 동학이 창시되다
3. 농민 봉기가 전국적으로 일어나다
본문내용
단원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6. 조선 후기 사회 개혁론의 등장
실학이 발달하다
차시
45차시
교과서
172~175쪽
학습 목표
•실학의 등장 배경과 주요 개혁 내용들을 나열할 수 있다.
지도상의 유의점
•실학의 사회 개혁 방안에 담긴 근대 지향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조선 후기의 사회 모순 해결을 위한 여러 개혁안을 실학자의 입장에서 제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오늘의 교수ㆍ학습 과정
과정
교수·학습 활동
도입
• 교과서 172쪽 <생각을 여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조선 후기에 새로운 문물을 배우고자 연행사를 따라갔던 실학자들에 대해 설명하고, 이들이 청의 선진 문물을 두루 살피면서 꿈꾸었던 조선의 모습은 어떠하였을지 이야기해 보게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