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복탄력성의 용어 정리
가. 정의
- (E. Waters & L. A. Sroufe, 1983) : 회복탄력성은 정신세계의 면역체계, 내적․외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
- (L. Polk, 1997) : 역경을 성장의 경험으로 전환하고 앞으로 더 나아가는 능력 (E. Hong, 2006).
- (J. Kim, 2011) : 개인이 갖는 스트레스와 소진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는 심리적 특성
- (오윤자 외, 2016) :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이를 극복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방법
- (신우열, 최민아, 김주환,2009) : 단순히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 능력을 의미하는 탄력성이나 일반적인 상황에서 충동을 표출하거나 억압하는 수준을 나타내는 자아통제 등의 관련 개념들과 구분시키는 개념으로 상황의 요구에 따라 자아 통제를 강화하거나 완화시키는 상위적인 능력을 의미함.
→ 회복탄력성은 다시 튀어 오르거나 원래 상태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심리학에서는 주로 ‘정신적 저항력(홍은숙, 2006)을 의미하는 말로 쓰인다. 연구자들은 회복탄력성을 역경을 성숙한경험으로 바꾸는 능력(Polk, 1997), 스트레스 및 역경을 극복하는 현상(Rutter, 1999), 중대한 위기상황을 겪었음에도 훌륭한 성장을 보이는 현상(Rutter, 1999), 높은 위험상태에 처해있거나 만성적인 스트레스와 외상적인 경험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Garmezy, 1993), 도전적이거나 위협적인 상황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능력 혹은 그 결과에 이르는 과정(Masten, Best & Garmezy, 1990)등으로 정의한다.
· 김성은, 김철희(2014). 비서의 감정노동, 직무만족, 이직의도와 회복탄력성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대한경영정보학회, 33(5), 261-283.
· 김정희 (2006).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과 인터넷 중독성향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희정, 박득, & 복미정. (2012). 콜센터 상담사의 근무경력과 업무 유형에 따른 회복탄력성.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 115-118.
· 백유성 (2015). 한국철도공사 구성원들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질서경제저널, 18(4), 129-146.
· 백유성, 조일래, & 김유정 (2015). 정서지능, 조직신뢰가 회복탄력성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933-946.
· 이나영(2014). 회복탄력성의 선행요인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과 실책관리문화
· 의 조절효과,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임창현, 이희수(2013).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행동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HRD연구(구 인력개발연구) , 15(3), 85-115.
· 오윤자, 윤시내, 오은지(2016). “기혼중년남성이 지각한 회복탄력성 및 은퇴태도가 의미 있는 삶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3), 157-174.
· 조명숙, 이성숙, & 김진희 (2014). 치과위생사의 회복탄력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 한국치위생학회지 (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14(5), 695-701.
· 조영복, 이나영(2014). 회복탄력성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과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정보학회 「경영과 정보연구」, 33(5), 155-169.
· 정태욱, 윤종균(2012). 감정노동 현장에서 개인성격특성이 정서조절책략에 미치는 영향. 취업진로연구, 2(2), 37-62.
· Broyles, Linda Cox. (2005). Resilience: Its relationship toforgiveness in older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nnessee.
· Choi, S. G. (2015). A Study on the impact of resilience on the qua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sei University, Kyunggi, Korea.
· Elder, J. P., Broyles, S. L., Brennan, J. J., de Nuncio, M. L. Z., & Nader, P. R. (2005). Acculturation, parent–child acculturation differential, and chronic disease risk factors in a Mexican-American population. Journal of Immigrant Health, 7(1), 1-9.
· Kim, J. H. (2011). Resilience. Goyang: Wisdomhouse.
· Krush, M. T., Agnihotri, R., Trainor, K. J., & Nowlin, E. L. (2013). Enhancing organizational sensemaking: An examination of the interactive effects of sales capabilities and marketing dashboard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42(5), 824-835.
· Leach, Mark P., Annie H. Liu, and Wesley J. Johnston. "The role of self-regulation training in developing the motivation management capabilities of salespeople." Journal of Personal Selling & Sales Management 25.3 (2005): 269-281.
· Luthans, F., Avolio, B. J., Avey, J. B., & Norman, S. M. (2007).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60(3), 541-572.
· Masten, A. S., Powell, J. L., & Luthar, S. S. (2003). A resilience framework for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Adaptation in the context of childhood adversities, 1-25.
· Mandleco, B. L. & Peery J. C.(2000). An organizational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resilience in childre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Nursing, 13(3)
· Oshio et al., 2003. Construct validity of the adolescent resilience scale. Psychological Reports, 93(3)
· Polk, L. V. (1997). Toward a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3), 1-13.
· Powley, E. H. (2009). Reclaiming resilience and safety: Resilience activation in the critical period of crisis. Human Relations, 62(9), 1289-1326.
· Roaf, S., Crichton, D., & Nicol, F. (2009). Adapting buildings and cities for climate change: a 21st century survival guide. Routledge.
· Sommers, B. D. (2009). Loss of health insurance among non-elderly adults in Medicaid.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4(1), 1-7.
· Waters, E., & Sroufe, L. A. (1983). Social competence as developmental construct. Developmental Review,3(1), 79-97.
· Yang, K. M. (2015). The effect of depression, life stressand resilience on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wom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2(2), 30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