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능력평가론-한국어 말하기 평가[한국어교원]
- 최초 등록일
- 2020.04.15
- 최종 저작일
- 2020.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초급 말하기 능력 평가에 대한 세부계획서를 작성해 보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목적
2.2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의 개발 절차
2.3 말하기 평가 유형
2.4 말하기 평가- 세부계획서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평가(Assessment)는 시험(Test)보다 광범위한 영역을 포함하며 언어 교수학습이 계속되는 진행 과정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언어 연습 활동을 하는 동안 학생들의 수행을 관찰하고 각 학습자에 대해 광범위하고 다양한 평가를 한다. 본 과제에서는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에 대한 목적을 간략히 알아보고, 세부계획서의 절차를 알아보고, 초급 말하기 능력 평가에 대한 세부계획서를 작성 해 보기로 한다.
2. 본론
2.1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목적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정도를 파악, 교육목표와 교수 및 평가 방법 등의 적합성과 효율성의 재고찰, 평가 결과를 교수. 학습 과정에 활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 말하기 평가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이라는 목적이 잘 반영되도록 평가를 구성해야 한다. 발화능력과 수행능력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2.2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의 개발 절차
1) 평가의 기획 : 학습자의 수준과 평가에서 목표로 하는 수준 등이 확인되어야 하고, 평가에 적절한 문항 수를 결정해야 한다. 특히 시간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참고 자료
이 소연 편저, 본 교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능력평가론“
곽지영.김미옥. 김제열. 손성희 외 공저(2007),한국어 교수법의 실제,연세대학교출판부,
왕 경(2013),한국어 말하기 평가,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과제물) 인터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