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원2급 학위과정 외국어로서의한국어능력평가론 과제 - 외국어 평가의 시기별 특징 외
- 최초 등록일
- 2021.10.15
- 최종 저작일
- 2021.04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소개글
[과제] 외국어 평가를 역사적으로 접근하여 시기별로 정리하고 최근 지능에 관한 논의와 평가에 관한 쟁점을 쓰십시오. 그리고 평가의 최근 쟁점과 관련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십시오.
[작성시 유의사항] ※ 답안 작성시 3개의 파트로 구분하여 작성 1. 외국어 평가를 시기별로 정리할 것 2. 최근 지능에 관한 논의와 평가의 쟁점을 정리할 것 3. 평가의 최근 쟁점과 관련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할 것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Spolsky(1976)가 언어 능력을 시기별로 분석한 것이 있다. 과학이전의 시기(직관적 시기), 심리측정 및 구조주의 시기(과학적 시기), 심리언어학 및 사회언어학적 시기(통합적 시기), 그리고 의사소통적 시기까지 아래에 정리해 보았다.
① 1920년대 초반 까지 - 과학이전의 시기(직관적 시기): 문법 항목과 언어적 요소 등 언어의 규범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가 하는 것을 다룬 시기이다. 시험 또한 문법지식과 문법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외국어 문장을 모국어로 번역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구어보다 문어를 위주로 하여 쓰기능력을 평가했다. 언어 평가의 초기 시기이므로 교사들이 임의적으로 평가하거나 시험문제 또한 신뢰도가 낮았다.
② 1940년대~50년대 까지 - 심리측정 및 구조주의 시기(과학적 시기): 구조주의 언어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이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언어 평가가 과학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언어 능력을 세분화하여 측정하고 점수를 합산해 결국 총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수치화 하였다. 구조주의 언어학을 따라서 언어 능력을 소단위를 평가하고 대단위로 합산한 것이다. 행동주의 심리학을 따라서는 학생들의 반응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단답형, 다지선다형, 객관식 등의 문제 형태를 개발했다. 이는 분리 항목 평가로 불리기도 하는데 각 언어 능력을 측정하는 데에 효율적이고 평가 문제와 점수를 개량화 하는 것이 용이하다.
참고 자료
Gardner, H.(1983). Frames of the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Goleman, Daniel.(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