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4차 산업혁명이란"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산업혁명의 정의2. 산업혁명의 전개
1) 1차 산업혁명
2) 2차 산업혁명
3) 3차 산업혁명
3. 4차 산업혁명
1) 4차 산업혁명의 정의
2) 4차 산업혁명의 특징
4.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1) 4차 산업혁명의 3대 핵심 기술 영역
2) 4차 산업혁명의 혁신 주요 기술
5. 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되는 미래사회
1) 기술·산업구조 측면
2) 고용구조 측면
본문내용
우리는 현재 4차 산업혁명의 초입에 살고 있다. 그러나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알지 못하며 궁금해 하지 않거나 혹은 4차 산업혁명의 정확한 정의 없이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을 망설임 없이 한다. 이러한 잘못된 지식과 무관심은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동떨어지게 한다. 우리는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우리가 살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인지, 가져올 변화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1. 산업혁명의 정의
산업혁명이란 18세기 후반 급격한 산업 생산력의 증대로 영국에서 시작된 사회·경제구조의 획기적인 변화를 일컫는다. 18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유럽과 북미, 그리고 아시아로까지 확산되었으며, 용어 자체는 영국의 역사학자 토인비가 「18세기 영국 산업혁명 강의」에서 산업혁명을 언급하면서 이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2. 산업혁명의 전개
약 1만 년 전 수렵·채집 활동을 하던 인류가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정착생활을 시작하는 근대적인 농업 경업으로의 이행의 농업 혁명에서 산업혁명으로 변화한다. 산업혁명의 전개 단계는 경제·사회 구조의 변혁을 촉진한 핵심 발명품의 등장시기를 기준으로 나뉜다. 4차 산업혁명이 등장하기 전까지 총 3차례의 산업혁명이 발생했다.
1) 1차 산업혁명
1차 산업혁명은 1784년 영국의 제임스 와트가 ‘증기 기관’이 개발되면서 수공업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기계가 생산을 대신하는 ‘기계화’ 시대가 열리게 된다. 증기에너지와 수력 에너지를 활용하여 영국은 1차 산업혁명 시대 세계 최대의 공업국가로 성장하게 되었고 ‘해가 지지 않는 나라’로 불리게 된다.
2) 2차 산업혁명
2차 산업혁명은 전기에너지를 활용해 1870년 미국의 신시내티 도축장에 최초로 컨베이어 벨트가 등장했는데 이를 계기로 분업 및 대량생산 체계가 갖추어지게 되면서 제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졌고, 2차 산업혁명을 계기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제조업에서 일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참고 자료
김규찬, 이성민, 김현주, 윤주(2017). 4차 산업혁명과 문화·관광산업 정책방향.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맹주영(2017). 로봇산업과 문화예술산업의 융합 활성화 방안 연구–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안홍기, 조은주(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역발전 방안. 국토연구원
김진하(2018).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사회 변화 전략적 모색. KISTEDP
이은광(2019). 4차 산업혁명이란 (上) (下). 데일리비즈온
임재업(2018). [27주년창사특집] 4차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동양일보
손현덕(2018). 4차 산업혁명의 정의(定義) 알고 계신가요. 매일경제MK
김승택(2017). 제4차 산업혁명 도래에 대한 시각. 딜로이트
손화철(2018).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다가온 기술 사회, 차분한 물음들로 응답. 뉴스앤조이
임유빈(2017). 4차 산업혁명,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앱스토리
미래창조과학부 블로그
(2019). 4차 산업혁명 시대, 예술은 어떤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을까?
https://blog.naver.com/with_msip/221562021505
(2018).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어디까지 왔을까?https://blog.naver.com/with_msip/221414557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