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 조기양막파열 (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 문헌고찰 및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20.04.04
- 최종 저작일
- 2019.02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gdb0**** (본인인증회원)
40회 판매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조기양막파열 (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에 대한 문헌고찰 및 Case Study 입니다.
가장 우선순위 상위에 있는 간호과정 두가지인 감염과 통증에 대해 진단을 내렸고 컨퍼런스때 칭찬받았던 케이스 입니다~!
#1. 양막의 파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2. 지속적인 자궁수축과 관련된 분만통증
목차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조기양막파열의 원인 및 발생빈도
2. 조기양막파열의 병태생리
3. 조기양막파열의 임상증상
4. 조기양막파열의 진단 및 치료
5. 조기양막파열의 간호 관리
6. 조기양막파열의 합병증 및 예후
Ⅲ. 간호정보
1. 건강사정
2. 신체검진
3. 입원 시 분만진행 사정
4. 분만진행 사정
Ⅳ. 임상검사
Ⅴ. 진단검사
Ⅵ. 약물요법
Ⅶ. 간호과정
1. 양막의 파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2. 지속적인 자궁수축과 관련된 분만통증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조기양막파열(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은 만삭임산부의 8~10%에서 보이며 조산의 원인 중 약 30%를 차지하는 질환이다. 또한 높은 유병률에 비해 아직 뚜렷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아 예방이 어려운 질환중 하나이다. 이렇게 조기양막파열은 예방은 어렵지만 즉시 처치하면 예후가 좋은 질환이기도 하다. 질환의 징후를 빠르게 인식하여 감염관리와 유도분만을 적절히 수행하면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예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질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레포트는 조기양막파열에 대해 이론적으로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법을 공부하여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조기양막파열 대상자 산모에게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고자하여 실시하였다.
Ⅱ. 문헌고찰
1. 조기양막파열의 원인 및 발생빈도
조기양막파열의 발생빈도는 5~20%이며 임신 말기에 양막파열이 될 경우 파열 후 24시간 이내에 80~90%에서 분만이 시작된다. 대부분은 원인 불명으로 갑자기 생기며, 양막이 터지기 전에 대변을 보는 것처럼 몸에 힘을 쓰거나 배를 다치거나 진통이 오는 등 관계될 만한 일이 없을 때가 대부분이고, 자다가도 생길 수 있다.
원인은 확실하지 않지만 자궁목무력증, 선진부의 진입지연, 높은 자궁내 압력, 다산부, 흡연, 조산, 임신 중 저체중, 체중증가 등이 유발요인으로 생각되어 진다.
2. 조기양막파열의 병태생리
➀ 양막의 강도 체질에 따른 개인차가 있으며 만삭에 가까울수록 자궁 입구가 부드러워지는 것과 비슷하게 양막의 강도는 줄어들게 되는데 한 번 양막 조기 파열로 조산 경험이 있는 사람은 다음에도 재발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그러나 터진 양막을 조사하면 터진 곳과 그 주변을 빼고는 터지지 않은 산모의 양막 강도와 차이가 없다.➁자궁의 압력 양막의 어느 한 부분이 약해져 있는 상태인데 이 부분에 큰 압력이 가해질 때 파열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참고 자료
조경숙,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4
조경숙,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4
여성건강간호교과간호연구회 편, 『여성간호학 Ⅰ』. 수문사. 2018
여성건강간호교과간호연구회 편, 『여성간호학 Ⅱ』. 수문사.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