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프랑케의 교육사상

"프랑케의 교육사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3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0.03.31 최종저작일 2019.05
33P 미리보기
프랑케의 교육사상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프랑케의 교육사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머리말

    II. 프랑케의 생애와 그의 교육실천적 활동
    1. 성장기와 수학
    2. 회심의 경험
    3. 라이프찌히의 경건주의 운동
    4. 할레(Halle)에서의 활동
    5. 할레 학교 설립과 운영
    6. 할레 대학 신학부에서의 활동

    III. 프랑케의 경건주의적 신학과 인간이해
    1. 경건주의(Pietismus)
    2. 프랑케의 인간이해

    IV. 프랑케의 교육사상
    1. 교육적 저술들
    2. 프랑케의 교육에 대한 기본입장 - 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3. 프랑케의 어린이 이해
    4. 정신도야(cultra animi)로서의 의지교육과 지성교육
    5. 프랑케의 교육방법적인 원칙
    6. 교육자와 피교육자와의 관계

    V. 교육사상사적의 의의

    본문내용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August Hermann Francke, 1663-1727)는 17세기말과 18세기초에 일어났던 독일의 경건주의 운동의 대표 주자이며 이 운동을 완성시키고 꽃피운 사람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래서 그는 신학 안에서 경건주의라는 운동의 카테고리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그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하려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곧 그가 단순한 신학자 혹은 경건주의자가 아니었음을 알게 된다.
    프랑케는 그의 경건주의적 이상을 무엇보다 ‘교육’이라는 통로를 통해서 실현하고자 했던 경건주의적 교육사상가이자 교육 실천가였다. 경건주의적 개혁이념을 교육을 통해서 실현하고자 시도하는 과정에서 그는 그의 교육적 사고를 발전시켜서 나름대로 교육이론을 정립하기도 하였고, 실제로 그가 활동하던 독일 동북부 지역의 할레(Halle)에 대규모의 학교를 설립ㆍ운영하면서 교육실천에 헌신하기도 하였다. 그는 이 학교운영을 통하여 할레 뿐 만 아니라 프로이센 전역에 걸쳐 영향을 미치며 그의 경건주의적 교육실천운동을 확대해 갔다. 그리하여 그가 운영했던 할레 학교는 18세기에 독일의 학교교육에서 하나의 모범적인 성격을 띄게 되는데, 그의 학교 운영안이 18세기 독일의 학교설립과 운영에 직ㆍ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뿐 만 아니라 그는 그의 목회 활동 자체를 넓은 의미의 ‘교육’으로 이해하였고, 교육적인 차원에서 목회를 이끌어 갔다. 그리고 그는 처음 목회를 시작하기 전인 라이프찌히 시절부터, 할레에서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계속해서 대학에서 강의를 했던 교직자였다. 따라서 프랑케의 삶과 활동을 전체적으로 놓고 볼 때 그에게 있어서 교육실천가로서의 삶과 활동이 다른 어떤 것보다도 그의 활동의 주축을 이루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그의 교육적 업적은 독일에서 이미 일찍부터 높게 평가되어 1871년에는 그의 설교집이나 신학적 저술과..

    <중 략>

    참고자료

    · Francke, A. H., Schriften über Erziehung und Unterricht. Bearbeitet v.
    · K. Richter, Berlin, 1871.
    · Pädagogische Schriften nebst der Darstellung seines Lebens und
    · seiner Stiftungen. Hrsg. v. G. Kramer, Langensalza, 1885.
    · Pädagogische Schriften. Hrsg. v. H. Lorenzen, Paderborn 1964.
    · Predigten I. Hrsg. v. E. Peschke, Berlin, 1987.
    · Werke in Auswahl. Hrsg. v. E. Peschke, Berlin, 1969.
    · August Hermann Franckes Schrift über eine Reform des
    · Erziehungs und Bildungswesens als Ausgangspunkt einer geistlichen und
    · sozialen Neuordnung der Evangelischen Kirche des 18. Jahrhunderts. Der
    · Grosse Aufsatz. Hrsg. v. O. Podczeck, Berlin, 1962.
    · Bußpredigt. 2 Teile, Halle, 1702.
    · Catechismus Predigten, Halle, 1729.
    · Lectiones Paraeneticae oder Öffentliche Ansprachen an die
    · studiosos Theologiae, Halle, 1726.
    · Sonn und Fest Tags Predigten, Halle, 1729.
    · ______________ Sonn- Fest- und Apostel- Tags- Predigten, 3 Teile, Halle, 1746.
    · ______________ Das Tieffe Verderben des Menschen(Predigt), Halle, 1700.
    · ______________ Der Große Aufsatz. Schrift über eine Reform des Erziehungs- und
    · Bildungswesens als Ausgangspunkt einer geistlichen und sozialen Neuordnung der
    · Evangelischen Kirche des 18. Jahrhunderts. Hrsg. von O. Podczeck, Berlin, 1962.
    · ______________ Schriftmäßige Anweisung recht und Gottwolgefällig zu beten:
    · Öffentliches Zeugniß von dem Wercke Gottes, Halle, 1702.
    · 김명혁, “독일 경건주의 운동 소고”, 「신학지남」, 1979 가을호, 25-45쪽.
    · 김진현, 독일 경건주의: 스페너와 프랑케의 영성과 신학,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 아세아 연합신학 연구원, 1994.
    · 박아론, “경건주의에 관한 고찰과 연구”, 「신학지남」, 1991 봄호, 108-129쪽.
    · 데일 W. 브라운, 오창윤 역, 「경건주의 이해」, 생명의 말씀사, 1987.
    · 마르틴 슈미트, 구영철 역, 「경건주의」, 성광문화사, 1992.
    · 에르네스트 슈트플러, 송인설 이훈영 역, 「경건주의 초기역사」, 도서출판 솔로몬, 1993.
    · 피터 C. 어브, 엄성옥 역, 「경건주의자들과 그 사상」, 은성, 1991.
    · 이영헌, “경건주의 운동과 그 유산”, 「복된말씀」 21권(1974), 4-9쪽.
    · 주도홍 편저, 「독일 경건주의」,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1.
    · Ahrbeck, R., Thaler, B.(Hrsg.), August Hermann Francke, Halle, 1977.
    · Ahrbeck, R., “Zum Prinzip der Selbsttätigkeit und seiner gesellschaftlichen Funktion in
    · A. H. Franckes Pädagogik”, Jb. f. Erziehungs- und Schulgeschichte, 17(1977), 55-80.
    · Ballauff, Th., Pädagogische Konsequenz aus der Philosophie von Leibniz.
    · Pädagogisches Denken in Geschichte und Gegenwart. Festschrift zum
    · 65. Geburtstag von Josef Dolch. Hrsg. v. I. Schindler, Ratingen, 1964.
    · Beyreuther, E., Selbstzeugnisse August Hermann Franckes, Marburg, 1963.
    · Dittrich-Jacobi, J., Pietismus und Pädagogik im Konstitutionsprozess der
    · Bürgerlichen Gesellschaft Historisch-systematische Untersuchung der Pädagogik
    · August Hermann Franckes (1669-1727), Diss., Bielefeld, 1976.
    · Feuerlein, J. C., Das aus der Asche von Grund neuerbauten Nürnbergischen Gymnasii
    · zu St.Egidie bisherige Fata, Gedr. bey B. J. Endter, 1699.
    · Hofmann, F., “A. H. Franckes Idee der Universal Verbesserung und die
    · Weltreformpläne des Comenius”, August Hermann Francke. Festreden und
    · Kolloquium über den Bildungs und Erziehungsgedanken bei A. H. Francke aus
    · Anlaß de 300. Wiederkehr seines Geburtstages 22. März 1963. Hrsg. v. G. Bondi,
    · Halle-Wittenberg 1964, 79-87.
    · A. H. Francke. Das humanistische Erbe des großen Erziehers, 1965.
    · Jacob, H., Erziehung als Unterweisung des Willens. Entstehung eines pädagogischen
    · Konzepts im 17. Jahrhundert, Diss., Bochum, 1978.
    · Lodewigs, S., Der Pietismus im Spiegel seiner Theologischen Kritiker, Diss., Göttingen, 1972.
    · Menck, P., Die Erziehung der Jugend zur Ehre Gottes und zum Nutzen des Nächsten.
    · Begründung und Intentionen der Pädagogik August Hermann Franckes, Wuppertal, 1969.
    · Oschies, W., Die Arbeits- und Berufspädagogik August Hermann Franckes(1663-1727), Witten.
    · Peschke, E., Studien zur Theologie August Hermann Franckes. Bd. 1 u. 2, Berlin, 1964.
    · Peschke, E., Bekehrung und Reform. Ansatz und Wurzeln der Theologie August
    · Hermann Franckes, Bielefeld, 1977.
    · Poser, H. “Monade, Monas. II: Von Leibniz bis Kant”,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 Philosophie, Hrsg. v. J. Ritter, Bd. 6, Basel/Stuttgart, 1984, 118-124.
    · Schaller, K., Die Pädagogik des Johann Amos Comenius und die Anfänge des pädagogischen Realismus in 17. Jahrhundert, Heidelberg, 1962.
    · "Der Pietismus und moderne Pädagogik", Pietismus und moderne Welt.
    · Hrsg. v. K. Aland, Witten, 1974, 161-184.
    · Schlee, H., Erhard Weigel und sein süddeutscher Schülerkreis, Diss., Heidelberg.
    · Schmalenberg, G., Pietismus-Schule-Religionsunterricht. Die christliche Unterweisung im Spiegel der vom Pietismus bestimmten Schulordnungen des 18.Jahrhunderts, Bern, 1974.
    · Schmidt, M., "Pietismus", R. G. G., Bd. 5, Tübingen, 370-381.
    · Velten, D.(Hrsg.), Glauben-Lehren-Erziehen. Pädagogen und pädagogische Konzepte im Pietismus, Giessen, 1988.
    · Wallmann, J., “August Hermann Francke und der hallische Pietismus”, J. Wallmann, Der Pietismus, Göttingen, 1990.
    · Weigel, E., Aretologistica. Die Tugend übende Rechen Kunst, Nürnberg, 1687.
    · Welp, M., Die Willensunterweisung bei August Hermann Francke unter besonderer
    · Berücksichtigung der Erziehungspraxis in der Franckeschen Anstalten, Diss., Dortmund, 1977.
    · Widen, B., Bekehrung und Erziehung bei August Hermann Francke, Abo, 1967.
    · Yang, K. H., Anthropologie und religiöse Erziehung bei A. H. Francke und Fr. D. E. Schleiermacher, Diss., Tübingen, 1995.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