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한국간호의 역사
- 최초 등록일
- 2020.02.26
- 최종 저작일
- 2020.02
- 19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500원

소개글
"[A+자료]한국간호의 역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조선시대 간호
2. 구한말 간호 조직과 제도
3. 구한말 간호 교육
4. 일제강점기 간호 조직과 제도
5. 일제강점기 간호 교육
6. 한국간호의 역사 요약
본문내용
1. 조선시대 간호
1-1. 의녀제도 신설 배경
조선시대 남녀유별이라는 유교사상이 지배하던 사회
여성환자는 남자의원에게 진찰받기를 꺼려함
여성환자가 죽음에 이르는 사태가 많았음
↓
태종 6년(1406년)
의녀제도 신설
<중 략>
4. 일제강점기 간호 조직과 제도
4-1. 간호제도
1)1914년 ‘산파규칙’, ‘간호부규칙'공표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간호 법률
•간호부와 산파의 면허제도 실시
•면허 조건
- 18세 이상 여성(간호), 20세 이상 여성(산파)
- 간호학교, 조산부과 졸업 or 면허시험 합격
2) 1922년 간호부규칙 개정
•간호사 면허자격 강화
•간호학교 1년 이상 수료자 면허시험 응시 가능
•응급 상황 시 의사의 지시 없이 간호사의 치료 및 처방 가능
3) 1931년 ‘조선 산파규칙‘, ‘조선간호규칙’ 으로 명칭 변경
4) 1942, 1944년 면허 자격 연령 변경(전쟁 수행의 이유)
참고 자료
간호학개론,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