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리, 「자연의 발견」, 『문학과 인간』, 민음사, 1997, 48~51쪽.
· 김종길, 「향수의 미학- 목월시의 전개」, 『문학과지성』 1971년 여름호, 580~581쪽.
· 김용직, 「동정성과 향토정조」, 『한국현대시사 2』, 한국문연, 1996, 514~523쪽.
· 오세영, 『한국현대시의 분석적 읽기』,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436~439쪽.
· 오세영, 『한국현대시인연구』, 월인, 2003, 515~517쪽.
· 김재홍,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90, 347~389쪽.
· 김재홍, 「목월 시의 성격과 시사적 의미」, 박현수 편, 『박목월』, 새미, 2002, 72~88쪽.
· 한광구, 『목월 시의 시간과 공간』, 시와시학사, 1993, 53~68쪽.
· 이숭원, 「환상의 지도에서 존재의 탐색까지」, 박현수 편, 『박목월』, 새미, 2002, 98~99쪽.
· 이희중, 「박목월 시의 변모 과정」, 『현대시의 방법 연구』월인, 2001, 309~330쪽. 유성호, 「사랑과 궁극적 근원을 향한 의지」
· 최승호, 「도시적 서정시의 맥락과 현재적 가능성」, 『우리말글』 제26호, 우리말글학회, 2002. 445~451쪽.
· 최승호, 「김소월 서정시의 미메시스적 읽기」, 『한국시학연구』, 한국시학회, 2004, 346~356쪽.
· 최승호, 「신석정 자연서정시의 미메시스적 읽기」, 『어문학』 제78집, 한국어문학회, 2002, 563~566쪽.
· P. Ricoeur, 『Metaphor vive』, Seuil, 1975, 13~69쪽.
· 김동석, 『예술과 생활』, 박문출판사, 1947, 109~110쪽.
· 김동리, 『문학과 인간』, 민음사, 1997, 49~51쪽.
· 박동규 외 70인, 『정다운 인연설』, 월인, 2004, 210쪽.
· 김준오, 『시론』, 삼지원, 1997, 21쪽.
· 박목월, 『보랏빛 소묘』, 신흥출판사, 1958, 84쪽.
· 박목월, 『보랏빛 소묘』, 82~83쪽.
· 박목월, 『보랏빛 소묘』, 84쪽.
· 발터 벤야민(반성완 역),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348쪽.
· 문흥술, 「박목월의 생애와 문학」, 박현수 편, 『박목월』, 새미, 2002, 15쪽.
· Walter Benjamin, Gesammelte Schriften 1?2, Frankfurt/M, 1980, 69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