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과 의상] 중국명대복식
- 최초 등록일
- 2003.10.21
- 최종 저작일
- 2003.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논문요약본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명대복식의 역사적 배경
III. 명대 남자 복식
IV. 명대 여자복식
V. 명대복식과 조선조전기복식의 관계
VI. 결론
본문내용
I. 서론
- 명대의 복식은 당송문화의 주류를 계승하여 중국 전통적인 복식 양태의 맥락을 보여주며, 동시에 요, 금, 몽고등 민족의 복식 양태를 수용하여 매우 다양화된 服飾形制가 되었다.
II. 명대 복식의 역사적 배경
- 명대는 명태조가 건국한 홍무원년(1368)부터 숭정17년(1644)까지 16명의 황제를 거쳐 277년의 역사를 지녔다.
- 洪武時代 : 명대 복제는 중국의 본토를 완전히 통일하고 국가의 위세가 정상까지 올라 있었던 홍무26년에야 마련되었다. 「한족부흥의 시대」라고 부르는 홍무시대 후기에 이르러야 상세하게 천자면복, 피변복, 문무관 조복, 제복, 공복 등의 제도가 정해졌다.
- 永樂時代 : 이 시기 명대 복식은 정치안정, 민생풍족에 따라 화려하고 사치해졌는데, 영락3년에 내린 복제를 보면 금, 옥, 진주, 보석의 장식이 홍무시대보다 훨씬 많고 의복에 있어서 직금 문양과 자수의 사용도 훨씬 많아졌다.
- 역사적으로 보면 명대는 당대이후로 중국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강했고, 국토가 넓으며 민생물자가 충족한 사회였다. 복식에 있어서도 다양성과 포용성을 가지고 있으며 정교함과 화려함은 唐에 조금도 뒤떨어지지 않는다.
참고 자료
明代服飾에 관한 硏究 - 유숙진, 성대 석사논문,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