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불교의 인간관에 대하여 -초기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불교는 인간학이라고 한다. 그것은 불교가 지닌 폭넓은 인간에 대한 이해와 긍정 때문이다. 사실 세계에 널리 알려진 종교나 철학체계에서 인간에 대하여 깊고 폭넓게 다루지 않은 것은 없지만, 불교는 그러한 모든 체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고 있다. 그것은 불교가 바로 인간을 중심으로 하고 있고, 또한 그 인간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중생, 나아가서는 자연물[無情]에까지 확대되며, 그렇게 넓게 확대한 범위에서 불교가 파악하는 인간관은 평등과 자비 등의 인간에 대한 절대긍정이기 때문이다. 인간중심이론의 기본 사유들이 상당히 동양적인 사상에 기초해 있으며, 인간중심 치료가 동양의 주요 사상가들의 철학을 가장 잘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인간이 자신의 내부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은 불교에서 보는 고통의 근본적인 원인이자 실체가 자신의 마음에 있음을 파악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불교의 인간관에 대하여 초기불교부터 대승불교까지 정리해보았다. 모쪼록 도움이 되길 바랍니니다.
1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0.02.18 최종저작일 2020.02
13P 미리보기
불교의 인간관에 대하여 -초기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 미리보기

    소개

    불교는 인간학이라고 한다. 그것은 불교가 지닌 폭넓은 인간에 대한 이해와 긍정 때문이다. 사실 세계에 널리 알려진 종교나 철학체계에서 인간에 대하여 깊고 폭넓게 다루지 않은 것은 없지만, 불교는 그러한 모든 체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고 있다. 그것은 불교가 바로 인간을 중심으로 하고 있고, 또한 그 인간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중생, 나아가서는 자연물[無情]에까지 확대되며, 그렇게 넓게 확대한 범위에서 불교가 파악하는 인간관은 평등과 자비 등의 인간에 대한 절대긍정이기 때문이다.
    인간중심이론의 기본 사유들이 상당히 동양적인 사상에 기초해 있으며, 인간중심 치료가 동양의 주요 사상가들의 철학을 가장 잘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인간이 자신의 내부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은 불교에서 보는 고통의 근본적인 원인이자 실체가 자신의 마음에 있음을 파악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불교의 인간관에 대하여 초기불교부터 대승불교까지 정리해보았다. 모쪼록 도움이 되길 바랍니니다.

    목차

    1. 초기불교의 인간관
    1) 업과 윤회의 가운데 있는 인간
    2) 무아를 딛고 선 불교의 세계관
    3) 위빠사나[觀]와 사마타[止]
    4) 사성제와 팔정도

    2. 부파불교의 인간관

    3. 대승불교의 인간관
    1) 보살사상
    2) 반야사상

    본문내용

    1. 초기불교의 인간관
    초기불교란 용어는 인도 동부 갠지스강 중하류 지방에서 발전하여 인도 전역으로 퍼져나간 초기형태의 불교를 지칭한다는 점에서 근본불교와 부파불교를 일부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 불교에서는 붓다의 본래적 가르침이 부파불교(Sectarian Buddhism)시대에 왜곡되어 소승불교(HīnayānaBuddhism)로 전락했으며, 붓다의 근원적인 가르침은 대승불교 시대에 이르러 다시 살아났다고 믿고 있다.
    따라서 대승불교(Mahāyāna Buddhism)를 표방하는 한국 불교 전통에서 부파불교의 일부를 포함하는 초기불교란 용어가 선호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소승불교를 지칭하는 ‘Hīnayāna Bhuddism’에서 ‘Hinayana’라는 말은 ‘소규모 수준 낮은 탈것(smaller vehicle)’을 가리킨다. 신흥 대승불교의 대두 이후 불자들이 이타(利他)를 지향하는바 스스로 '위대하고 수준 높은 탈것'(great vehicle)이라 자칭하면서, 전래의 부파 불교를 시종(始終) 자리(自利)에만 급급하는 열등한 탈것이라 비하한 데서 유래한 폄칭(貶稱)이다. 따라서 부파불교라 자부하는 입장에 선 사람들은 가치비판적인 의미에서 붙여진 이와 같은 비칭을 사용하지 않고, 스스로를 일러 ‘윗자리에 앉은’이란 수식어를 택해 테라바다(Theravada), 즉 상좌부(上座部) 불교라 자처한다.

    1) 업과 윤회의 가운데 있는 인간
    불교는 인도동부 갠지스강 중하류 지역의 도시화를 바탕으로 발전한 종교이다. 서기전 600∼400년 사이에 갠지스강 중하류 지역에서는 인더스 문명에 이어지는 제2의 도시화가 일어났고 상업이 발전하면서 새롭게 도시상인들이 사회의 주류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당시 갠지스강 중하류 지역에서 성립된 출가수행자 집단의 든든한 후원자가 되었으며, 순세외도(ājīvikas), 자이나교(Jainism), 불교와 같은 신흥종교의 발전을 이끌어내게 된다.

    참고자료

    · 천정은, 「명상초보자들의 호흡명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 제4권 제2호(2018), 한국질적탐구학회, pp.191-233.
    · 에띠엔 라모뜨 저, 호진 역, 「인도불교사1」 (서울: 시공사, 1998), pp.12-23.
    · 김성규, 「2600년 불교의 역사」 (서울: 자유출판사, 2009), pp.11-23.
    · 고익진,『불교의 체계적 이해』(서울: 광륵사, 2015년), pp.90-99.
    · 붓다락키따,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 (서울: (사)위빠사나수행처 보리수선원, 2015), pp.45-60
    · 법천, 「위빠사나와 삼마디」 (서울: 명상가의 쉼터, 2018), pp.33-55.
    · 김현준, 「사성제와 팔정도」 (서울: 효림, 2013), p.6.
    · 시즈타니 마사오, 스구로 신죠 저, 문을식 역, 「대승불교」 (서울: 도서출판 여래, 1995), p.67.
    · 칼루파하나, 데이비드J 저, 최유진 역, 「불교 철학: 역사적 분석」 (서울: 天池, 1992), p.135-145.
    · 카렐 베르네르 저, 김봉래 역, 「업에서 헤어나는 길」 (서울: 고요한 소리, 2014), pp. 6-17.
    · 이중표, 「근본불교」 (서울: 민족사, 2013), pp.265-280.
    · 이봉순 지음, 「보살사상 성립사연구」 (서울: 불광출판부, 1998), pp.183-200
    · 강순전, 「진리를 향한 의식의 모험 헤겔의 정신형상학」(서울: 삼성출판사, 2006), pp.34-37.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2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