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 중국의 불교철학과 한국의 불교철학
- 최초 등록일
- 2009.10.02
- 최종 저작일
- 2009.06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풍우란의 중국철학사, 미우라도우사꾸 중국윤리사상사, 조현규의 동양윤리의 담론
묵가,법가 부분 정리
목차
■ 원시불교의 윤리사상
■ 소승불교와 대승불교
■ 중국불교의 철학적 발전
■ ■ 한국불교의 윤리사상
본문내용
1. 석가의 삶 -붓다: 깨달은 사람.
-천상천하 유아독존: 구도자로서의 석가의 기본적 입장 “나는 깨달음을 열기 위해, 또 세상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기 위해서 생을 받은 자다. 이것은 나의 윤회의 생존에 있어서 최후의 것이다.” -> 자리(自利)와 이타(利他)의 완성
-3가지 보배: 불타(불佛), 진리(법法), 제자(승僧) “두 극단을 버리고 중도를 행하라.”
+ 근본불교: 연기, 사성제, 팔정도, 중도사상
-기존의 관념: 윤회설, 업설, 해탈을 목표로 하는 인생관
-새로운 : 불평등->평등한 인간관, 신->인간중심적 연기세계관, 고행->중도의 수행관, 내세->현세적 해탈관.
2. 원시불교의 근본교설 -원시불교: 초기의 인도불교를 의미.
1) 연기의 원리
-연기: 인생과 우주를 설명하는 가장 근원적 이법. “~을 연(緣)하여 일어나는(起)것”
일체의 사물은 다양한 원인과 조건을 연하여 성립. 우주만물은 단독의 힘으로 생성발전할 수 없고, 반드시 인(因)과 연(緣)의 결합을 필요로 함.
-원초적 형태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 이것이 없으면 저것이 없고, 이것이 멸하면 저것이 멸한다.”
-> 모든 존재, 만유는 곧 소멸되어 공(空)으로 돌아가고, 공은 곧 만유가 되는데, 만유의 이와 같은 변화는 서로 의지하고 상관해서 이루어진다는 것 ex) 목재(인) +목공(연)->책상. +불(연)->재
만유는 인과 연의 상호관계에 의해 끊임없이 생멸․ 영구불변의 독자적인 본성, 자성(自性)을 가진 존재없음.
-인간: 인연으로 말미암은 일시적 결합일뿐. 오온으로 구성되어 있는 인간은 다시 분해되어 소멸하는것.
육체(물질적요소) +정신적요소(4가지)=> 색, 수, 상, 행, 식의 5가지 요소로 화합= 오온.
오온 =공(空) =무아(無我) =무상(無常) => 인생 =고(苦)
-연기관 두 측면 해석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