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훈석, 「흉기 든 가방 지니고 가족 위협 조현병 환자 경찰이 입원 조치」, <<광주매일신문>> 2019. 06.
· 김성우, 「정신질환자 '심신미약 감형' 비판여론…왜 감형해야 하나」 <<세계일보>> 2019. 04. 27.
· 김영은, 「'강남역 살인 3주기' 여전한 공포…"내가 당할 수 있었다"」, <<연합뉴스>> 2019. 05. 16.20.
· 김예지, 「법원, 조현병 환자 위한 치료감호소 설립 정부에 촉구」, <<동아일보>> 2019. 05. 23.
· 김정화, 「“정신병력 진단 있으면 감형사유 고려할 수밖에” “치밀한 계획 범죄…범행 당시 정신상태 따져야”」, <<동아일보>> 2019. 04. 19.
· 권세라, 「조현병 환자 가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7,
· 노청숙, 「재가 만성조현병 내담자의 심리상담 경험」, 백석대학교, 2014, 9p.
· 박기완, 「故 임세원 교수 살해범 징역 25년 선고」, <<YTN>> 2019. 05. 17.
· 박미원, 「조현병을 가진 사람의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특별한 굴레, 평범한 일상 」, 경남대학교, 2017,
· 박민지, 「조현병은 ‘질병’… 편견 없어야 범죄도 없다」, <<국민일보>> 2019. 05. 03.
· 박지선, 『조현병 환자의 범죄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5 No.1, 2014.
· 박태근, 「‘진주 방화·살인’ 안인득 치료감호소 유치…檢 “정확한 정신감정 보고 기소”」, <<동아일보>> 2019. 05. 11.
· 백종우, 「조현병 치료받던 환자 "선생님, 저도 살인자가 될 수 있는 건가요?"」, <<YTN>> 2019. 06. 13.
· 손성배, 「가족 살해 조현병 환자 '20년형'」, <<경인일보>> 2019. 06. 21.
· 송종호, 「조현병 인식 개선은 커녕 국립정신건강센터마저 먹통」, <<아주경제>> 2019. 06. 13.
· 신경민, 「[조현병환자 대책 세우자] 강제입원 효과 적어… 꾸준한 약물치료해야」, <<중부일보>> 2019. 06. 11.
· 신은식 외 3인, 『조현병 환자의 신경과학적 근거에 대한 고찰』, 신경재활치료과학, Vol.2 No.1, 2013.
· 유수인, 「정신질환자 강제입원 “인권침해… 의료윤리 위반”」, <<국민일보>> 2019. 06. 10.
· 윤정숙 외 3인, 『묻지마 범죄자의 특성 이해 및 대응방안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4, 72p.
· 이병훈, 「국내 조현병 환자 50만명… 잇단 묻지마 범죄에 공포 확산」, <<파이낸셜 뉴스>> 2019. 06. 07.
· 이상배, 「관리 사각 ‘조현병 1인 가구’… “사회 복귀 돕는 게 근본적 해결책”」, <<부산일보>> 2019.05.09.
· 이소연 외 3인, 『조현병 환자의 치료 반응에 따른 Mismatch Negativity 변화』, 생물정신의학, Vol.24 No.4, 2017.
· 이승훈, 「[고립된 그들, 이젠 공존으로] 2. 부모의 무지가 키운 병 '조현병'」, <<부산일보>> 2019.05.09
· 이은정, 「조현병 환자의 자기중심적 사고에 대한 성경적 접근」, 총신대학교, 2016, 3p.
· 이준석, 「조현병 30대 편의점서 흉기 난동…3명 부상」, <<KBS뉴스>> 2019. 05. 18.
· 임명수, 「동생의 상습폭력, 누나 일기장에 고스란히... 존속살인 피의자에 20년 선고」, <<한국일보>> 2019. 06. 22.
· 임재은, 「조현병 환자를 위한 사회인지 기술 훈련의 효과」, 고려대학교, 2016, 5p.
· 장혜진, 「'PD수첩' 조현병, 끝나지 않는 전쟁… "나는 안인득이 아니다"」, <<부산일보>> 2019. 05. 21.
· 정동훈, 「조현병 잇단 사건·사고에 움츠러든 환자들」, <<아시아 경제>> 2019. 06. 05.
· 정용부, 「진주 아파트 방화·살인 목격자 “2층서 주민 기다린 뒤 막 휘둘러"」, <<파이낸셜 뉴스>> 2019. 04. 17.
· 정진수, 「조현병 환자 약 끊으면 2년내 70∼80% 재발」, <<세계일보>> 2019. 06. 10.
· 조윤진, 「조현병 범죄자의 형사책임능력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8,
· 최하나, 「만성조현병 환자가 지각한 가족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부산지역 정신의료기관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신라대학교, 2018,
· 최종술, 『묻지마 범죄의 사례 분석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6 No.2, 2016.
· 최효정, 「조현병 환자, 잇따른 범행으로 인한 고충 "입원이 해결책 아냐…손밖 묶여 소변 닦지도 못해"」, <<한라일보>> 2019. 05. 21.
· 황정희, 「만성 조현병 환자를 위한 정서지능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정」, 삼육대학교, 2016, 13p.
· 홍경영,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조현병 환자에 대한 사회 인식」, 을지대학교, 2017, 13p.
· Bartol, Curt R·Bartol, Anne M., 『범죄심리학』 제9판, 2015, 35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