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필요성
클라이언트는 자신에게 적절한 직업을 찾아 직업목표를 성취하고 사회의 일원으로서 독립적으로 살고자 하지만 개인의 적성과 능력 및 장애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직업현장에 뛰어들어 현장적응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배치가 되었어도 이직 율이 높은 경향이다.
클라이언트, 부모, 협력자들은 클라이언트의 객관적인 정보를 기초로 장·단점, 제한점,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파악하고 진로방향을 찾아 지역사회의 회사 및 직업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현장적응에 실패를 줄이고 클라이언트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여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기를 원한다.
Ⅱ. 목 적
일차적인 목적은 직업재활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의 잠재적 직업능력 판정,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서비스 프로그램 결정, 그리고 자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자기이해를 도움으로써 스스로 직업을 결정하도록 돕는 것이다.
구체적인 직업평가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적 잠재능력을 파악하여 개별화된 재활계획을 수립한다.
둘째, 적합한 직업재활프로그램을 계획한다.
셋째, 적합한 직장, 직무, 환경조건, 직종의 선택을 돕는다.
넷째, 훈련성과 측정 등이 있다.
Ⅲ. 기대효과
첫째,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직업진로 지도를 한다.
둘째, 다른 직업재활 담당자에게 체계적인 직업평가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훈련 및 취업지도 계획시 성과를 예측할 수 있게 하여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직업평가 자료가 직업현장과 연결되어 현장 적응 및 고용안정을 돕는다.
· 권현주 외, 장애인의 진단 및 평가,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2
· 김삼섭, 시스템 2000, 직업능력평가 연찬회 교재, 서울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4.
· 노동부 중앙고용정보관리소, 한국직업사전(제2판), 노동부 중앙고용정보관리소, 1995.
· 안병즙 외, 직업평가, 대구 : 문창사, 1998.
· 이달엽, 재활요원 양성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998.
· Botterbusch, K. F., Vocational Assessment and Evaluation System: A Comparison, Menomonie, WI: Material Development Center, 1987.
· CARF, Employment and Community Services Standards manual, Arizona : CARF, 1998.
· Fadely, D. C., Job Coaching in Supported Work programs, 오길승역, 지원고용에서의 직무지도원의 역할,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6.
· Jacobs, K., Occupational Therapy: Work-Related Programs and Assessments, (2nd ed.),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1991.
· Power, P. W., A Guide to Vocational Assessment (2nd ed..), Austin: PRO-ED, 1991.
· Roessler, R. T., Cas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Counseling. Austin: PRO-ED, 1992.
· 강위영 외, 직업재활개론, 서울 : 성원사, 1991.
· 강위영 외, 직업재활과 지원고용, 서울 : 성원사, 1993.
· 강필수, 장애인 직업평가 체계연구, 서울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1.
· 권현주 외, 장애인의 진단 및 평가,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2. 외, 직업준비평가 사용지침서,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6.외, 마이크로타워 표본작업평가지침서,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6. 외, 비언어성 직업흥미검사,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6. , 성인 정신지체인의 지능, 적응행동, 작업평가간의 관계 및 작업수행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성지재활연구,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8.
· 김승국, 장애학생의 직업평가,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4.
· , 적응행동검사지침서 재판,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1996.
· 김용식, GATB에 의한 정신지체학생의 직업적성,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0.
· 김은영, 정신지체인의 직업흥미와 취업직종,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6.
· 김종진, 재활대상자의 직업특성요인과 재활성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4.
· 박양신, 장애유형별 직업선호경향의 분석,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5.
· 박희찬 외, MDS의 구성과 사용법,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1997.
· 장애인재활, 서울: 도서출판특수교육, 1996.
· 정신지체인 재활을 위한 McCarron-Dial System의 적용,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1995.
· 오길승, 우리 나라 직업재활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고찰, 한신대학교 사회복지정책연구소, 1995.
· 이상춘 외, 장애인 직업적응을 위한 재활방법, 서울 : 성원사, 1992.
· 조병주, 심리검사에서 나타난 정신지체인 취업자와 비취업자의 특성 비교, 엠마우스 복지관, 1997.
· 한국장애인고용촉진<<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