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절대주의 담론 - 이탈리아와 스웨덴을 중심으로 -
- 최초 등록일
- 2019.12.30
- 최종 저작일
- 2019.12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유럽의 절대주의 담론 - 이탈리아와 스웨덴을 중심으로 -"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이탈리아
2. 스웨덴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탈리아
절대주의국가는 르네상스 시대에 등장하였다. 그리고 절대주의의 기본적인 여러 행정적ㆍ외교적 기법들이 이탈리아에서 개발되었다. 따라서 왜 이탈리아 자체는 전국적 차원의 절대주의를 달성하지 못하였는가 라는 의문의 제기가 필요하다. 물론 교황청 및 신성로마제국의 보편적인 중세기적 제도들이 이탈리아와 독일 두 나라에서 정통 영토군주제의 발전을 저해하였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이탈리아에서는 교황이 반도의 영토적 통일을 위한 모든 노력에 저항하였다. 그러나 이탈리아의 영토적 통일을 저지하는 데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왜냐하면 교황청은 오랫동안 그 허약함이 잘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교황의 정치적 책략이 허용되었다는 것은 이탈리아에 우세한 권력이 부재하였다는 사실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전국적 절대주의의 실패를 낳게 된 중요한 결정요인들은 도처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것은 정확히 북부 이탈리아 도시들에서 일찍이 시기상조의 상업자본이 발달하였기 때문이었는데, 이러한 여건은 전국적 차원에서 강력하게 재조직된 봉건 국가의 출현을 저지하였다. 이후의 절대주의 확립에 기반이 될 수 있었던 통일된 봉건군주제를 확립하려는 가장 진지한 노력, 즉 프리드리히 2세가 13세기에 상대적으로 발전된 그의 영주국을 남부의 기반으로부터 확장시키려는 노력을 좌절시켰던 것은 롬바르디아 및 토스카나 자치도시들이 지닌 부의 활력이었다. 신성로마제국 황제인 그는 자신의 야심을 달성하는데 유리한 많은 자본을 보유하고 있었다. 남부 이탈리아는 서유럽에서도 노르만에 의해 이식된 피라미드적 봉건 위계질서가 비잔틴의 강력한 제국 적 전제정과 결합되어있는 지역이었다. 시칠리아왕국은 노르만 통치의 말기에 황폐와 혼란에 빠져들었던 바, 이때 지방 귀족들이 지방권력과 왕실의 장원을 장악하였다. 프리드리히 2세는 왕국에 대한 강력한 중앙집권적 통제를 재천명한 1220년의 카푸아 법령을 공포하면서 남부 이탈리아에 진출하였다. 도시에서는 궁정행정관들이 시장을 대치하였고, 주요한 성들은 귀족의 소유로부터 왕의 소유로 다시 회수되었으며, 봉토의 상속은 군주의 감독 하에 종속되었고, 영지의 기부가 취소되었으며, 함대의 유지를 위한 봉건부과조가 부활되었다.
참고 자료
페리 앤더슨, 절대주의 국가의 역사 (Lineages of the Absolutist State)김현일 역,현실문화 (2014)
박무성 ‘서양 근대사 총론’ 법문사 1992
배영수 ‘서양사 강의’ 한울 1993
이혜령 외 7인, 「문화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서울; 1995)
이민호, 「서양문화사」, 느티나무(서울; 1992)
민석홍 외1인,「서양문화사, 서울대학출판부(서울;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