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향토음식 개관과 그에 따른 함의
- 최초 등록일
- 2019.11.29
- 최종 저작일
- 2019.11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북한의 향토음식 개관과 그에 따른 함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향토음식의 정의
2) 북한 향토음식의 실태
3. 북한의 향토음식
1) 황해도 지역
2) 평양지역
3) 평안도 지역
4) 함경도 지역
5) 개성, 경기도지역
6) 강원도지역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식문화는 한 국가의 정체성과 문화를 알리는 대표적인 매개체이자 국가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소중한 국가 자산이다. 우리에게는 우리의 역사만큼이나 길고 다양한 한식의 역사가 존재한다. 최근 들어 한류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김장문화가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에 등록되는 등 우리 문화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더불어 한식문화와 역사에 대한 관심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지역음식은 해당 지역의 긍정적이고 우호적인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재방문 의사를 갖기까지 한다. 즉 음식을 관광 상품화의 수단이 되는 것이다. 2019년은 음식으로 다양성을 표출할 수 있는 시대다. 실제로 유튜브나 개인방송 플랫폼을 통해 음식을 맛있게 먹는 것만으로도 경제활동이 가능하며 사람들은 이에 열광한다.
국내의 북한 향토음식은 주로 실향민과 새터민을 중심으로 국내에 소개되어 왔다. 초기에는 실향민이 주로 운영하는 북한 향토음식전문점을 통해 평양냉면, 함흥냉면, 개성 조랭이 떡국, 개성만두, 아바이 순대 등 몇몇 종류를 중심으로 소개되었지만 새터민의 국내 유입이 증가하면서 평양온반, 어복쟁반, 원산 잡채, 함경도 가자미식해 등 더욱 다양한 종류의 북한 향토음식이 소개되었다. 또한 국내 요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증가하면서 더욱 다양한 종류의 북한 향토음식에 대한 정보들이 국내 소비자에게 제공되기 시작하였다.
참고 자료
한식진흥원, [북한 전통음식 조사 발굴사업], 2019
강진희 외1, [북한 향토음식에 대한 경험가치가 재구매의도와 동질성 회복에 미치는 영향], 2018
한식재단, [그리움의 맛 북한 전통음식], 2017
정재홍, [아름다운 우리 향토음식], 2008.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 종합보고서-향토음식편-],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