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공정 (발해) 조사

나누미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9.11.27
최종 저작일
2011.01
16페이지/파일확장자 압축파일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동북공정 발해에 관한 중국의 연구
1. 중국 학계 연구 현황
2. 중국 학계 배경
3. 중국 학계 주장 내용
4. 참고문헌

Ⅱ. 발해 동북공정 조사
1. 서론
2. 본론
1) 발해의 개괄
2) 동북공정의 개괄
3) 발해사 연구의 국가별 쟁점
(1) 한국
ㄱ. 연구 동향
ㄴ. 연구 쟁점․현황
(2) 북한
ㄱ. 연구 동향
ㄴ.연구 쟁점․현황
(3) 중국
ㄱ. 연구 동향
ㄴ.연구 쟁점․현황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중국 학계 연구 현황
중국의 발해사 연구는 청대에 처음으로 시작된 것으로 보는데, 청 초 문자옥으로 흑룡강지역으로 유배 보내진 유학자 몇몇이 동북 변방에 남아있는 유물들에 대해 기초적인 기록을 남긴 것이 최초의 연구 성과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발해사의 실제적 연구는 1919년부터라고 볼 수 있는데, 탕옌(唐晏)의 <발해국지(渤海國志)>(1919)는 발해사 연구의 효시라고 꼽힌다. 탕옌의 뒤를 따라 중국에서 여러 학자들이 연구 성과를 내기 시작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청말 진위푸(金毓黻)의 <발해국지장편(渤海國志長編)>이다. 진위푸의 연구는 발해사의 1차 자료를 총망라하여 당대 모든 문헌을 분류·고증하여, 현재까지도 중국 발해사 학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에는 문헌과 고고학이 결합된 형태의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그 중에서도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사상해방에 따라 1980-1990년대에 연구자와 연구 성과가 급증하는 등, 집중적으로 발해사 연구가 진행되었다.

<중 략

<서론>
대한민국이 가장 좋아하는 시인 중 한 명인 윤동주의 고향은 간도, 즉 만주였다. 대대로 조상들이 살아온 곳이라 그런지 이제는 생활과 문화적 측면에서 상당히 차이가 있지만 아직도 많은 한국 사람들에게는 조선족과 그들이 사는 만주에 대한 애착이 남아있다.
지난 2002년부터 중국은 “동북공정”이란 이름으로 만주의 역사를 재창조하고 있다. 우리가 만주의 주권을 상실한 것은 오래 전이지만 한때나마 역사적으로 만주에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명백한 사실로, 우리에게는 바른 역사를 주장할 권리가 있다. 동북 공정은 고조선에서 부여, 고구려, 발해로 이어진 한국의 역사를 부정한다. 따라서 한반도 역사의 뿌리와 그 자부심을 뒤흔들 수도 있기에 공격적인 대응과 방어가 나올 수 있으나, 우리는 민족주의를 구시대의 유물로 여기는 21세기에 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민족주의에 근본을 둔 섣부른 감정적 대응은 국외는 물론 국내에서조차 외면당할 것이다.

참고 자료

김미진, “한·중 고대사 '분쟁'의 쟁점과 과제 : '동북공정'과 그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이효형, 『동아시아의 발해사 쟁점 비교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9
임상선, 『발해사의 이해』, 신서원, 1990
최광실, “동북공정 전후 중국의 한국고대사 인식 : 동북공정 이후 중국 연구서에 보이는 고구려, 발해 인식”, 한국고대학회, 2008
신선혜, “중국 동북공정의 연구현황과 분석 ; 발해(渤海)의 귀속문제(歸屬問題)에 대한 중국학계(中國學界)의 연구동향(硏究動向)과 문제점(問題點)”,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08
신선혜, “발해의 귀속문제에 대한 중국학계의 연구동향과 문제점”, 사총 제66집(2008,3,30) pp.137-170,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08
최광식, “동북공정 이후 중국 연구서에 보이는 고구려․ 발해 인식”, 선사와 고대 통권 제29호 (2008년 12월) pp.107-131, 한국고대학회, 2008
이효형, 김동우, 김진광, 선석열, 정석배 저, 『동아시아의 발해사 쟁점 비교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9
공석구(2009), 『한국사의 어제와 오늘』. 대전: 도서출판 보성.
이인철(2010),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서울: 백산자료원.
한국우리民族史硏究會(2006).『동북공정과 고대사 왜곡의 대응방안』. 서울: 도서출판 백암.
김미진(2006), 한·중 고대사 '분쟁'의 쟁점과 과제 : '동북공정'과 그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정희(2010), 동북공정에 대응한 고등학교 국사 교육 활용 방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천석(2009), 중국 동북공정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광식; 한국고대사학회(2004), 동북공정의 배경과 내용 및 대응방안. 『한국고대사연구』제 33호, 서울: 서경문화사.
송기호(1996),『한국사』10(발해),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이용범(1988),『中世 滿洲·蒙古史의 硏究』, 광주: 동화출판공사.
고구려 연구재단, 조선력사학학회, 러시아극동국립기술대학교 [공]편(2005), 『고조선·고구려·발해 발표 논문집 = Articles on Old Choson, Koguryo, and Parhae.』,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국사편찬위원회(2002), 『북한의 역사학. 1』,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2003), 『북한의 한국사 연구동향』,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도면회 외(2003), 『북한의 역사만들기 : 北韓 歷史學 50年』, 서울: 푸른역사.
이효형 외(2009), 『동아시아의 발해사 쟁점 비교 연구』,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장국종; 사회과학원 [편](2001), 『발해국과 말갈족』, 서울: 중심.
장국종(2006), 『발해사 100문 100답』, 서울: 자음과 모음.
전호태(2004), 『북한의 삼국시대사 인식』, 울산: 울산대학교출판부.
김미진(2006), “한·중 고대사 '분쟁'의 쟁점과 과제 : '동북공정'과 그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상선(1990), 『발해사의 이해』, 서울: 신서원.
최광식; 한국고대사학회(2008), “동북공정 전후 중국의 한국고대사 인식 : 동북공정 이후 중국 연구서에 보이는 고구려, 발해 인식”, 서울: 서경문화사.
신선혜(2008), “중국 동북공정의 연구현황과 분석 ; 渤海의 歸屬問題에 대한 中國學界의 硏究動向과 問題點”, 서울: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신선혜(2008), “발해의 귀속문제에 대한 중국학계의 연구동향과 문제점”. 『사총』제66집, 서울: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최광식; 한국고대사학회(2008), “동북공정 이후 중국 연구서에 보이는 고구려․ 발해 인식”, 『선사와 고대』통권 제29호, 서울: 서경문화사.

압축파일 내 파일목록

동북공정 (발해) 조사/동북공정 발해에 관한 중국의 연구.hwp
동북공정 (발해) 조사/발해 동북공정 조사.hwp
나누미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중국의 서북공정, 동북공정 5페이지
    중국동북공정·서북공정 ① 서북공정동북공정 ③ 문명과 문화의 ... 차이 중국의 서북공정·동북공정 중국의 서북공정이 이뤄지고 있는 신장위구르 ... 투쟁밖에는 길이 없다.”고 주장한다. < 동북공정 > 동북 3성 지역을
  • 한글파일 중국 동북공정의 실태 4페이지
    중국 동북공정의 실태 1. 동북공정의 정의 2. 동북공정의 실태 3 ... . 동북공정에 대한 우리의 대응 1. 동북공정의 정의 동북공정중국사회 ... 사업으로 추진한 연구 계획을 가리킨다. 중국은 2001년 6월에 동북공정
  • 한글파일 중국동북공정과 홍산문명 3페이지
    중국동북공정과 홍산문명 목 차 Ⅰ. 서 론 Ⅰ. 중국동북공정 Ⅱ ... 중심으로 참고 문헌 Ⅰ. 서 론 Ⅰ. 중국동북공정 동북공정은 '중국 ... 점은 중국이 시행하려 하는 동북공정의 내용에 대해 자세히 모른다거나
  • 한글파일 중국동북공정과 한중일역사분쟁 12페이지
    한국사입문 -중국동북공정과 한중간의 역사분쟁- 과 목: 지도교수 ... 이란? ······················································1 Ⅰ-2. 중국동북공정 ... 이란? 동북공정은 간단하게 말하면 중국의 국경 안에서 전개된 모든 역사를 중국
  • 파일확장자 발해의 역사가 우리의 역사라는 내용의 비평문이다. 동북공정에서 주장하는 내용을 반박하고 발해가 고구려의 계승국임을 알리는 내용이다. 2페이지
    주장한다. 이러한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인해 우리 국민들의 발해에 대한 ... . 그런데 중국은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발해를 자신들의 역사로 ... 발해는 고구려 장군 출신인 대조영이 옛 고구려 영토에 세운 발해는 한
  • 한글파일 고구려와 동북공정 문제 14페이지
    계승 ㄷ. 발해문제 Ⅴ. 동북공정 이전의 한국사에 대한 중국의 인식 Ⅵ ... 고구려와 동북공정 문제 Ⅰ. 들어가며 Ⅱ. 중국동북공정의 내용과 ...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에 따라 본 글은 중국동북공정의 내용과 배경을
  • 한글파일 티벳, 신강 사태를 통한 동북공정 대응방안 모색 - 현대 중국의 티벳, 신강 지역의 정치적 갈등의 연원과 대안 16페이지
    사태와의 공통점으로는 중국동북공정이 소수민족의 역사와 삶을 송두리 째 ... 신강사태, 동북공정중국이 주변국의 비난을 받으면서도 끝까지 욕심을 ... ①중국의 역사왜곡 ‘동북공정’10년… 지금도 진행중, , 2012년 7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프레시홍 - 주꾸미
  • 르네셀 화장품
동북공정 (발해)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