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철, 「기억을 둘러싼 투쟁」, 아세아문화사, 2006, p. 243.
· 민족문제연구소, 「한국근현대사와 친일파문제」, 아세아문화사, 2000.
· 안병직외10인, 「세계의 과거사 청산」, 푸른역사, 2005.
· 안진, 「미군정과 한국의 민주주의」, 한울아카데미, 2005.
· 주섭일, 「프랑스의 대숙청」, 중심, 1999.
· 허종, 「반민특위의 조직과 활동」, 선인, 2003.
· 강정구, “친일파청산의 좌절”, 「한국사회학」제27집, 한국사회학회, 1993.
· 김영미, “미군정기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성립과 활동”,「한국사론」,서울대국사학과, 1994.
· 김영수, “과거청산은 어떻게 해야 하나”, 「내일을여는역사」제16호, 내일을여는역사, 2004.
· /“외국의 과거청산사례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나?”, 「내일을여는역사」제18호, 내일을여는역사, 2004.
· 백동현,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제정과 그 의미”, 「역사비평」통권75호,역사와비평사, 2006.
· 안병욱, “과거청산, 왜 해야 되나?”, 「내일을여는역사」제18호, 내일을여는역사, 2004.
· 정호기, “한국 과거청산의 성과와 전망”, 「역사와비평」통권69호, 역사와비평사, 2004.
· 조병선, “형법을 통한 과거청산의 한독비교”, 「형사법연구」제15권, 한국형사법학회, 2001.
· 이강수, “친일파청산․반민특위와 백범”, 「한국사학보」제18호, 2004.
· / “해방직후 남․북한의 친일파 숙청 논의 연구”. 「전남사학」제20집, 2003.
· / “반민특위 특별재판부의 조직과 활동”, 「한국근현대사연구」, 제25집, 한국근현대사연구회.
· 이완범, “친일파처리 문제에 대한 일 연구”, 「현상과인식」통권95호,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5.
· 이헌환, “해방 후 남한정부의 친일잔재 청산-법제도적 측면에서”, 「세계헌법연구」, 국제헌법학회, 2003.
· 안 진, “해방후 반민족행위자 처벌에 관한 일고찰”, 「한국사회학 연구」, 제9집, 1988.
· / “반민법의 실패요인에 관한 일 고찰” 「민주법학」 제24호, 2003.
· 허 종, “제헌국회의 반민족행위처벌법”의 제정과 그 성격, 「대구사학」, 1999.
· / “1947년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친일파처벌법 제정과 그 성격”, 「한국근현대사 연구」, 제12집, 한국근현대사 사학회,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