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A+] 기능주의 우리나라 교육체제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9.11.20
- 최종 저작일
- 2018.09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800원

소개글
"[교육사회학A+] 기능주의_우리나라 교육체제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기능주의 사회관
1) 기능주의란?
2) 기능주의의 사회관
2. 기능주의 교육관
3. 기능주의의 사회학자
4. 기능주의의 명과 암
본문내용
1. 기능주의의 사회관
1) 기능주의란?
기능이론은 인간의 몸과 같이 사회를 유기체에 비유하고 있다. 즉, 유기체와 마찬가지로 사회는 각기 다른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은 전체의 존속을 위하여 필요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런 사회체계는 순기능을 유발한다고 주장한다. 그런 의미에서 기능주의적 사고에 의하면 사회의 각 부분은 상호의존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기능주의는 구조기능주의, 평형이론, 질서이론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2) 기능주의의 사회관
- 기능주의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사회를 바라보는 입장이 보수적인 측면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능주의의 사회관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 사회의 각 요소는 상호의존적이며, 통합적인 기능을 한다.
● 사회의 모든 요소는 안정 지향적이다.
● 사회의 중요한 가치는 모든 사회 구성원들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진다.
● 사회의 지위배분은 개인의 성취에 의해 이루어진다.
● 사회의 변화는 점진적이고 누적적으로 이루어진다.
● 모든 사회 구성원들에게 균등하고 공정한 기회가 주어지며, 사회적 보상은 능력과 노력(능력주의)에 따라 주어진다.
● 사회적 가치관, 관습, 규범 등은 보편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통제는
강제와 억압보다는 보편적 합의에 의해 이루어진다.
<중 략>
2. 기능주의의 교육관
● 기능주의는 학교의 교육내용이 사회적 합의를 거쳐 결정된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지식으로 구성되며 학교는 보편적 지식을 전수함으로써 사회유지와 통합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주장
→ 기능이론에서는 사회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교육이, 기존 사회의 문화를 자라나는 세대에게 전수하는 사회화와 사회 각 분야의 역할을 잘 담당할 수 있는 사람을 뽑는 사회적 선발을 통해 사회 전체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기능한다고 보는 입장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기능주의의 교육관을 학교가 사회화를 담당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기능주의에서 보는 ‘학교와 사회화’는 과연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참고 자료
충청투데이 - 아이들의 아파트 눈높이 (김윤주 기자, 2018.04.26.) 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132784
경향신문 - “명문대생 절반 이상이 상위 20% 상류층” (김기범 기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1251034451&code=940401
연합뉴스 - 국가장학금 중산층으로 확대…올해 60만명 '반값등록금' 혜택 https://www.google.com/amp/m.yna.co.kr/amp/kr/contents/%3fcid=AKR20180206072400004
미디어SR - 소방관 아저씨, 의사 선생님... 초등학교 교과서에 담긴 차별 http://www.mediasr.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755 (권민수 기자, 2018.02.27.)
연합뉴스 - 국가장학금 중산층으로 확대…올해 60만명 '반값등록금' 혜택 (2018.02.06.)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2/06/0200000000AKR20180206072400004.HTML
대전일보 - 2016-2018년 일반고 진학률 감소 자사고·특목고 진학률 소폭 상승 (2018.07.08.)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324718&r_key=0861870288
크리스천투데이 - 한국장학재단 2018년 국가장학금 2학기 1차 신청 선발 결과 발표, 지급일은? (김신의, 2018.08.16.) http://www.christiantoday.co.kr/news/315214
한국일보 - “공부 못한다고 차별” “운동도 맘껏 못해”… 마음 속 괴물을 깨워 (신지후 기자,2018.01.05.) http://www.hankookilbo.com/v/4e6503712d9544eb9a2e098abe0cd2a8
지식채널e - Knowledge of the channel e_공부 안 하는 아이 https://youtu.be/Y8GQpqFG95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