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에 대한 이론을 정리한 보고서입니다.
- 최초 등록일
- 2019.11.03
- 최종 저작일
- 2018.05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감염관리에 대한 이론을 정리한 보고서입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Ⅲ. 건강사정
제 12장 ) 감염관리
1) 기초학습
1.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유형
2. 감염 유형
3. 감염회로
4. 감염에 대한 신체 방어
5. 감염에 대한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간호과정
1. 사정
2. 간호진단
3. 계획
4. 수행
5. 평가
본문내용
Ⅲ. 건강사정
제 12장 ) 감염관리
* 간호사는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감염정보, 전파방법, 및 예방법에 대해 교육해야 하며, 간호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개인 보호장구를 갖추어 감염물질이나 자상, 비말로 인한 감염 등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 비말 : 날아 흩어지거나 튀어 오르는 물방울.
1) 기초학습
1.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유형
*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병원성 미생물에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이 있다.
* 세균은 미생물로 공기, 물, 음식, 신체조직, 및 체액을 통해 전파된다.
<중 략>
2. 간호진단
* 실제적 감염으로 유발될 수 있는 간호진단
- 감염의 잠재적 합병증 : 발열
- 영양의 불균형 : 대상자가 질병으로 인해 신체요구량보다 적은 음식섭취
- 급성통증 : 대상자가 조직손상과 불편감을 표현할 때
-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여 또는 사회적 고립 : 대상자가 감염성 질환과 관련된 격리 필요 시
- 불안 : 대상자가 감염으로 사회적 활동에 변화*직업을 잃거나*일상기능 수행 어려울 때
3. 계획
* 감염 감수성이 있는 대상자의 주요 간호목적
- 방어를 유지하거나 회복한다.
- 감염원의 전파를 차단한다.
- 감염과 관련된 문제를 없애거나 감소시킨다.
* 목적달성을 위한 전략
- 감염미생물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엄격한 내과적*외과적 무균술 적용
- 감수성이 있는 숙주의 방어기전을 지지하는 방법 적용
- 감염이 있을 때 감염 및 감염원의 전파를 예방할 수 있는 보호수단에 대한 대상자 교육
참고 자료
최신 기본간호학 (송경애 / 수문사)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8429000
표준국어대사전 → 비말
http://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7375762&memberNo=19049565
올바르게 손 씻는 방법<자료=식품의약품안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