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T assay- adhernet cell의 viability 측정 요점정리
- 최초 등록일
- 2019.10.26
- 최종 저작일
- 2019.10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의대옵세 (본인인증회원)
2회 판매
소개글
"MTT assay- adhernet cell의 viability 측정 요점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① 실험 간단 요약
② 실험 재료들
③ 실험과정 간략히
④ 잡 지식들
⑤ 교수님 자료 내용
본문내용
① 실험 간단 요약
H2O2는 세포를 사멸시키는 아이
H2O2를 다양한 농도로 미리 배양한다. -> 농도 큰 쪽이 많이 죽는다.
죽었는지 확인은 MTT로 한다.
배양한 세포가 살아있다면 미토콘드리아도 왕성하고 미토콘드리아의 dehydrogenase는 노란색인 MTT를 만나면 보라색의 formazan으로 바꾸어 준다.
세포가 많이 살아있을수록 포마잔이 많겠지? 그러니까 보라색의 보색의 흡광도인 570nm(교수님 자료는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했을 때, 흡광도가 높으면 세포가 많이 살아있다.
②실험 재료들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 쥐의 피부암세포(멜라닌이 많음), 바닥에 붙어있는 adherent cell이다.
성장배지(DMEM/High glucose) : 세포가 먹고 자라는 밥
¥H2O2 : 불안정한 화합물로, 안정해지기 위해 전자를 받고 이 때 ROS(reactive oxygen species, 활성산소)를 만든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