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지론]외국의 아동복지 발달사에 대해 서술하고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방향성과 실천과정, 방법에 대해 논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9.10.11
- 최종 저작일
- 2019.09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5,000원
소개글
A+ 받은 과목의 과제입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과제 점수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영국의 아동복지 발달사
2.미국의 아동복지 발달사
3.일본의 아동복지 발달사
4.현재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1)방향성: 아동복지에 대한 인식 재설정
2)실천과정 및 방법
(1)가족상담
(2)학교의 교육과정 변화
(3)‘대치동’과 같은 학원가에 대한 제도 변화
Ⅲ. 결론
본문내용
유럽의 경우, 산업시대의 폐해로 정밀한 작업을 위해 아동이 노동력을 착취당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천도교와 천도교였던 방정환 선생이 이미 일제시대 때부터 아동을 보호하는 소년운동을 해왔다. ‘늙은이’와 대비되는 ‘어린이’라는 단어를 새로 만들고, 어린이날을 제정하고, 잡지 어린이를 창간했다. 천도교에서는 유교의 장유유서가 어린이들의 인권을 말살했다고 보았으며, 아이들을 ‘인간’으로 대우해 줄 것을 권고했다. 이러한 인식변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아동은 노동력 착취의 원천이 되지 않았으며, 일찍부터 어린이를 보호하자는 인식이 생겨났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일제의 방해로 아동복지가 체계가 잡히지 못했을 뿐이며 영국의 아동복지가 먼저 생겨났다고 하여, 우리나라의 아동복지가 뒤쳐졌다고 말할 수 없다. 그러나 아동복지가 어떠한 흐름으로 형성되어 왔는지 살펴보면서, 외국의 아동복지를 타산지석 삼아 우리나라의 아동복지의 방향성을 살펴보자.
본론
1. 영국의 아동복지 발달사
가장 먼저 아동복지를 수립한 영국의 아동복지 발달사를 보면, 엘리자베스 빈민법으로부터 아동복지가 출발하였다. 이 빈민법에는, 근로가능 빈민과 근로불가능 빈민을 구별하여 복지를 해야하며, 근로가능빈민에게는 노동을 통해서 구제를 하고, 근로불가능 빈민에게만 급여를 통해 구제를 해야한다는 내용이 있었다. 이에 따라 아이들도 도제 형식으로 근로를 하며 자립능력을 키워갔으나, 노동력 착취의 문제가 제기 되면서, 개정 빈민법에서는 9세 이하의 어린이의 노동을 완전히 금하고, 13세 이하의 남자아이에게는 1주일에 48시간의 노동만을 허락하였다. 하지만, 아동이 공장에서 열악한 환경에 취약한 문제가 있었고, 교육을 받지 못하는 아동이 많이 생겨나면서 다시 공장법이 제정되었다. 개정 빈민법보다 좀 더 자세히 제정되어 9~13세 아이는 하루에 8시간까지, 14~18세 어린이도 하루에 12시간을 넘지 못하도록 제한하였다.
참고 자료
전광현. (2001). 일본의 아동복지법 개정 방향 -아동복지시설을 중심으로 하여-. 신학과 선교, 26(0), 38-54.
정익중. (2004). 미국의 복지개혁이 아동발달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8(0), 181-215.
네이버포스트, “학원 34개 다니는 삼남매, 이건 겉핥기 수준” 대치동으로 이사한 아이들 상태, http://naver.me/GzQbD5hF
한성심, 김현자. (2006). 아동복지 관점에서 출산장려를 위한 사교육의 사회문제와 개선방안. 아동복지연구, 4(2),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