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기, “이사야 6장의 문맥과 기능에 대한 고찰.” 「신학연구」 (2007, 12월), 101-127.
· 김성수, “이사야 1-12장의 문맥 속에서 이사야 6장 읽기.” 「구약논단」 (2019, 3월), 118-150.
· C. Hassell Bullock, An Introdiction th the Old Testament Prophetic Books, (Chicago: Moody Bible Institute, 1986); 류근상 역, 「구약 선지서 개론」 (서울: 크리스챤 출판사, 2001).
· G. B. Gray,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Book of Isaiah, Vol. 1,(Edinburgh: T&T, Clark, 1912), 8. Otto Kaiser, 번역실 역, 「이사야 1」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3)
· John Oswalt, The book of Isaiah, Chapter 40-66 NICOT(Grand Rapids: Wm.b. Eerdmans, 1998); 이용중 역, 『이사야 Ⅰ』 NICOT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5).
· Tremper Longman, Raymond B. Dillard. Introduction th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Zondervan, 2009); 박철현 역, 「최신구약개론」 (고양: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9).
· 마일즈 반펠트 외12명, 김희석 외 12명 역, 「성경신학적 구약개론」 (서울: 부흥과개혁사,
· 2018).
· Willam L. Holladay, A Concis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 (Grand Rapids: E. J. Brill and Wm. B. Eerdmans Pub, 1971); 손석태 & 이병덕 역, 「구약성경의 간추린 히브리어 아람어 사전」 (서울: 솔로몬, 2002),
· 메튜헨리, 황장욱 역, 「성서주석시리즈-이사야(상)」 (서울: 기독교문사, 1976).
· 목회와 신학 편집팀, 「이사야1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서울: 두란노 아카데미, 2008).
· 박윤선, 「성경주석 이사야서」 (서울: 영음사, 1964).
· 베르너 H. 슈미트, 차준희 역, 「구약신앙- 역사로 본 구약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7).
· 알렉 모티어, 박문재 역, 「이사야 주석」 (서울: 솔로몬, 2018).
· 에드워드 J.영, 장도선, 정일오 역, 「이사야 주석1」 (서울: CLC, 2007).
· 윌리엄 반 게메렌, 채천석 역, 「예언서 연구」 (서울: 솔로몬, 2016).
· 이상근, 「이사야서 주해」 (대구: 성등사, 1991).
· 존 D.W. 와츠, 강철성 역, 「WBC 성경주석: 이사야 (상)」 (서울: 솔로몬, 2002).
· 존 N. 오스월트, 장세훈, 김홍련 역, 「NIV 적용주석 시리즈-이사야」 (서울: 솔로몬, 2015).
· 존 월튼, 빅터 매튜스, 마크 샤발라스, IVP 성경배경주석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 2001).
· 존 칼빈, 「칼빈 성경주석 12-이사야Ⅰ」 (서울: 성서교재 간행사, 1990).
· 카일⋅델리취, 「이사야 (상)」 (서울: 기독교 문화협회, 1983).
· 크리스토퍼 사이쯔, 「이사야1-39」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 트렌트 C. 버틀러, 마영례 역, 「Main idea로 푸는 이사야」 (서울: 디모데, 2006).
· 팔머 로벗슨, 한정건 역, 「선지자와 그리스도」 (서울: 개혁주의신학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