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과] 금속재료의 인장강도시험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19.08.31
- 최종 저작일
- 2017.12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학교 과제로 수행한 [금속재료의 인장강도시험]에 관련한 레포트입니다.
실험에 관한 이론과 실험과정, 실험결과, 고찰로 구성되어있고
과정 별 사진과 설명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유용하게 사용하세요.
목차
1. 실험 개요
2. 실험 내용
3. 실험 결과
4. 실험 고찰
본문내용
- 실험 목적
인장 시험 법에 대한 내용을 익힌다.
인장시험을 통하여 시편에 인장력을 가하여 파단 되기까지의 항복강도, 인장강도, 탄성계수, 내력, 파단 강도, 파단 연신율을 구해본다.
실험 결과를 통해 Stress-Strain Curve 를 그려 나타내본다.
- 실험 일시 및 장소
2016년 9월 29일 15:00 6공학관 실험실
관련이론
- 강 및 스테인레스 강에 대한 기본적 이론
- 인장시험 관련 이론 : 각종 규격 (KS 규격 등)의 내용 포함
ㄱ. 강
철-탄소계를 기본으로 하는 합금.
a. 조성
앞의 2원계의 상평형 그림은 철-시멘타이트, 철-흑연계를 함께 기록하는 복(複)상평형 그림으로 나타내는 일이 많지만, 전자는 철강에, 후자는 주철에 적용해서 편리하다. 여기서 실선이 철-시멘타이트계, 점선이 철-흑연계이다. 괄호 안 숫자는 탄소의 중량 백분율을 표시하며, 공정(共晶) 온도에 상당하는 E점 이하의 조성을 강이라고 하며, 특히 탄소 이외의 합금 원소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 탄소강이라고 부른다. 그림에서 L은 용철(熔鐵), δ, γ, α는 각각 δ철, γ철, α철에 탄소가 용해한 고용체로, 금속 조직학에서는 γ를 오스테나이트, α를 페라이트라고 하며 강(철)의 열처리상 가장 중요한 조직이다. 또, Fe3C는 시멘타이트로 그 퀴리 온도는 점선의 210℃이다. 그런데 점선의 768℃는 페라이트의 퀴리 온도이다.
b. 제조법
대량 생산 방식은 간접 제강법으로, 탄소 3~4%의 선철을 탈탄한다. 제강로는 평로(平爐)(⇀ 평로법), 전환로(⇀ 전환로법) 및 아크로(⇀ 전기 제강)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