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락사의 합법화
- 최초 등록일
- 2019.06.05
- 최종 저작일
- 2016.05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안락사의 정의와 종류
1) 안락사의 정의
2) 안락사의 종류
2. 안락사를 둘러싼 찬반논쟁
1) 찬성
2) 반대
3. 안락사 관련 해외 입법 예시
1) 네덜란드
2) 호주
4. 국내 안락사 관련 판례
1) 보라매병원 사건
2) 세브란스병원 사건 (김할머니 사건)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대 사회에서는 의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수명이 크게 늘어났지만, 한 편으로는 인간의 생명을 대상으로 한 윤리적 고민을 떠안게 되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안락사인데, 안락사에 대한 문제는 좀처럼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안락사 제도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생명을 인위적으로 연장시키는 것은 환자 자신뿐 아니라 가족 · 의료진 · 사회 등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게 되고, 나아가 모든 사람들은 죽음을 포함하여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한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안락사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의사가 환자를 죽이는 일에 개입하게 될 때 연명치료중단의 오·남용 문제나 의사에 대한 환자의 불신 등의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생명은 하나님께 속한 영역이므로 이를 인간이 인위적으로 단축할 수는 없다”고 맞서고 있다(이봉림, 2010).
이 리포트에서는 안락사의 정의와 종류, 안락사에 대한 찬반 논쟁, 안락사 관련 해외 입법 예시, 국내 법원의 판결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그를 통하여 안락사 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이봉림. (2010).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존엄사)법에 대한 논의와 입법방향. 법학논총, 27(4), 122-124.
김한나·김계현. (2010). 존엄사에 관한 법적 고찰. 원광법학, 26(2), 79-90.
정덕영. (2010). 존엄사에 대한 헌법적 검토. 원광법학, 26(2), 270-273.
이재석. (2010). 존엄사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 37, 172-192.
신동일. (2009). 존엄사에 대한 형법적 물음. 형사정책연구, 20(1), 330-332.
한상훈. (2005). 치료중단과 작위 · 부작위의 구별. 법학연구, 26, 253-256.
김학태. (2009). 무의미한 생명연장치료중단에 관한 법 윤리적 고찰. 외법논집, 33(1), 3.
이세화. (2009).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소고. 영남법학, 29, 304-306.
김미혜·김소희. (2010). 존엄사의 법제화에 대한 태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0), 31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