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기업에 대한 사례
- 최초 등록일
- 2019.05.25
- 최종 저작일
- 2018.03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다국적기업의 정의․목적․특징
Ⅱ. 다국적기업에 대한 조사 및 분석
Ⅲ. 나의 의견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1. 다국적기업의 정의
다국적 기업에 대한 정의는 크게 기업의 구조적 특성, 경영성과 특성, 행동적 특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기업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다국적 기업의 정의 : 기업이 경영활동을 하고 있는 국가의 수, 기업소유의 국제적 분산정도, 최고경영자의 국적 분포 등을 기준으로 정의
-경영성과 특성에 따른 다국적 기업의 정의 : 절대적인 기준과 상대적인 기준의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정의. 절대적인 기준은 투입자원의 일정량 이상을 국제적인 사업 활동에 배정하는 기업. 상대적인 기준은 투자재원, 기술, 인적자원 등의 경영자원이 상당한 정도 국제적인 사업 활동과 연관되어 있는 기업
-행동적 특성에 따른 다국적 기업의 정의 : 경영의 관점이나 사고가 세계적인가의 여부를 통해 다국적 기업을 정의
결론적으로 다국적 기업이란, 수 개국에 걸쳐 영업 내지 제조거점을 가지고 세계적인 범위로 영업을 하는 것으로 시장, 기술 경영방법의 국제적 공동화가 이루어지는 기업이라고 정의 할 수 있습니다.
2. 다국적기업의 목적
-수출시장 확보와 증대 : 자국 상품만 수출하고 있던 나라에 그 상품을 제조하는 공장을 설립하고, 현지에서 제조와 마케팅을 행하기 위함이다. 생산적 입지 조건의 우위성은 현지 생산에 의한 현지 특혜 관세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현지 생산에 따르는 원료나 반제품 등의 새로운 수출을 증대시킬 수 있다.
-유리한 산업입지 획득 : 생산업과 같이 노동이 많이 필요한 산업의 경우 자금이 낮은 국가에 진출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자원 확보 : 자국 내에서 충족시킬 수 없는 풍부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진출한다.
-잉여생산력의 해외이전 : 자국 내의 노후화된 공장시설을 해외에 이전하여 능률적인 이용에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다.
-경영관리 차이 해소 : 기술제휴와 같은 사업파트너가 있을 경우 기술과 자금을 제공하지만 경영관리 기술의 미숙 등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때 진출한다.
참고 자료
3M 홈페이지 (http://www.3m.com)
한국 3M 홈페이지(http://www.3M.co.kr)
3M 100주년 기념 ‘A century of Innovation the 3M Stroy’ 발간 (e book)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네이버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6736&cid=40942&categoryId=34658)
개정판 다국적기업론 (어윤소, 정한경 공저, 형설출판사)
잉게 툴린 회장 인터뷰 (http://weekly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2/12/14/2012121401240.html?Dep0=tw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