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M 현지화_다국적 기업의 현지화 국제경영전략
- 최초 등록일
- 2020.12.21
- 최종 저작일
- 2019.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3M 현지화_다국적 기업의 현지화 국제경영전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조사주제
2) 기업 선정이유
Ⅱ. 본론
1) 기업소개
1) 3M 이란
2) 3M 글로벌화 과정
2) 3M의 현지화 전략
1) 한국에서의 현지화 사례
2) 인도에서의 현지화 사례
Ⅲ. 결론 및 시사점
1) 3M의 현지화 전략 요약
2) 3M에게서 배울 점
3) 느낀 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조사주제
2019년 2학기 국제경영학의 기말 주제 4개 중 내가 선택한 것은 다국적 기업의 현지화 국제경영전략 사례조사이다. 이 주제를 선택한 이유는 다국적 기업이면 친숙함을 느낄 수 있는 평소에 많이 접하던 브랜드를 선정할 수 있어 자료를 조사할 때 어려움이 비교적 덜 할 것 같아서 이다. 보고서 작성을 통해 우리 기업이 배워야 할 점까지도 알아 볼 수 있을 것 같아 이 주제를 선정했다.
2. 기업 선정이유
내가 선정한 기업은 3M이다. 3M을 선정한 이유는 전에 들었던 경영전략 수업의 교수님께서 3M이라는 기업을 다각화에 매우 성공한 기업으로서 예시를 자주 드셨던 것이 기억에 많이 남아있기에 다각화에 성공한 3M이라는 기업이 글로벌화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냈는지 탐구해보고 싶어 3M을 선정하게 되었다.
Ⅱ. 본론
1. 기업소개
1) 3M이란
우리가 일반적으로 3M 이라고 알고 있는 기업의 정식명칭은 3M Company로 이는 미국의 다국적 기업이다.
3M은 1902 년 헨리 S.브라이언을 비롯한 5인으로부터 시작 된 회사로 초기에는 사포를 생산했고 30년대부터 다양한 기술을 바탕으로 스카치테이프, 마스킹 테이프, 탁상용 복사기 등을 개발하였으며 혁신적인 제품을 만드는 회사로 인식되어져왔다.
2) 3M 글로벌화 과정
3M이 캐나다, 멕시코, 프랑스, 독일, 호주, 영국으로 사업을 확장 시켜나간 것은 1950년대 이다. 1951년 국제 거래량이 20만 달러에 육박하였으며 12대 최대 주가 성장 기업에도 들었다. 이후 보드게임, 신호등, 녹음기 등의 제품개발을 통해 성장을 거듭해 현재 3M은 전 세계 132개의 지부에 6만7천명의 직원이 있으며 전 세계 판매량은 200억 달러 이상이며 이 중 58 퍼센트를 국제 거래가 차지한다.
2. 3M의 현지화 전략
1) 한국에서의 현지화 사례
한국에 3M이 처음 들어온 것은 1977년이다. 처음에는 두산과 합작투자를 했지만 1996년 두산그룹의 지분철수로 외국인 투자기업이 되었다.
참고 자료
최윤호 기자 - 3M, 혁신의 대명사 ‘쓰리엠’ 한국경쟁력을 높이다 https://www.google.com/amp/www.donga.com/news/amp/all/20150225/69800144/1
최동석 인도 뭄바이무역관 - 인도 3M 제품 혁신, 고객과 상호밀착 산물 - 현장·인터뷰 - KOTRA 해외시장뉴스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globalBbsDataView.do?setIdx=245&dataIdx=95263
이의철 기자 - [한국속의 외국기업] '한국3M'..완전 현지화/사장만 외국인 | 한경닷컴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1998021201501
배연해·주간한국부 기자 - 주간한국 : [외국기업의 허와실] '한국 3M'은 현지화 모범기업 http://weekly.hankooki.com/whan/last/991104/w615260.htm
블로거 Seneca - 인도 3M, 성공의 비결은 ‘현지화’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rime201&logNo=50082226995&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